학과안내
교과목개요

석사과정

1) 구약학 전공

구약 석의 방법론(Exegetical Methods in Old Testament Studies)

구약의 본문에서 본문의 의도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기존의 석의 방법론들을 소개하고 그들의 장단점이 무엇인지를 연구한다. 그리고 이런 연구를 통해서 성경의 권위를 세우는 올바른 석의 방법이 무엇인지를 배우고, 실제적으로 본문을 정하여 석의한다.

구약 신학(Old Testament Theology)

구약의 다양한 진술들을 역사적 시각에서 어떻게 조직화하고 체계화할 수 있는지를 연구한다. 그래서 구약의 모든 진술들을 아우르는 전체적인 주제가 무엇인지를 살피고, 그 주제가 구약과 신약에서 어떻게 통일성을 이루는지를 밝힌다.

구약 내러티브 연구(Old Testament Narrative)

구약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내러티브를 올바로 해석하기 위해서, 내러티브의 원리와 특성이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특별히 내러티브 비평 방법론을 소개하고 거기서 도출된 통찰력들을 실제 내러티브 본문에 적용해 본다.

레위기 연구(The Book of Leviticus)

레위기의 전체 구조를 파악하고, 세부 단락들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는지를 살핀다. 그리고 특별히 레위기의 제사, 정결법, 거룩법, 그리고 절기의 의미들이 무엇인지를 연구하고, 그것이 신약의 예수 그리스도에 어떻게 성취되는지를 살핀다.

사사기 연구(The Book of Judges)

사사기의 구조와 각 사사들의 내러티브 이야기들을 연구한다. 그리고 사사기 본문에서 저자의 의도가 무엇인지를 살피고 거기서 파생되는 신학이 무엇인지를 연구한다.

시편 연구(Psalms)

기존의 시편 연구 방법론과 시편들이 서로 의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비교하고, 후자의 관점에서 시편을 해석할 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연구한다. 아울러 그런 해석적 기반을 통해 시편의 신학이 무엇이며 그 강조점이 무엇인지를 밝힌다.

이사야 연구(The Book of Isaiah)

이사야서의 구조와 본문의 흐름을 통해서 그 의미들이 무엇인지를 연구한다. 그리고 기존이 이사야를 파편화 시킨 역사비평과 대조해서 이사야가 어떻게 통일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사야에 나타난 종말론적 신학이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예레미야 연구(The Book of Jeremiah)

예레미야의 구조를 파악하고, 각 단락에서 본문이 말하는 메시지들이 무엇인지를 연구한다. 특별히 예레미야의 새 언약이 예레미야 전체에서 어떻게 중추적 핵심인지를 밝히고, 예레미야서에서 신학적 주제들을 연구한다.

2) 신약학 전공

신약원전 연구(Advanced Greek Grammar)

신약연구의 필수요소인 신약성경의 원어인 헬라어의 문법을 어휘론 및 구문론 등의 측면에서 깊이 있게 연구한다.

신약원전 석의(New Testament Greek Exegesis)

신약성경을 헬라어 원문에 바탕을 두고 석의하는 훈련을 쌓는다.

사도행전 연구(Acts)

사도행전 본문 문헌으로부터 본문 석의 및 신학 등을 연구한다.

히브리서 연구(Hebrews)

히브리서 본문 문헌으로부터 본문 석의 및 신학 등을 연구한다.

신약해석방법론(Methods of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신약연구의 방법론들을 석의 방법론들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복음서 석의(Exegesis of the Gospels)

공관복음서들 가운데 한 복음서를 집중적으로 석의함으로써 석의 능력을 함양한다.

요한문헌 연구(Johannine Literature)

요한복음, 요한서신, 요한계시록 문헌, 본문 석의 및 신학 등을 연구한다.

바울서신 석의(Exegesis of Pauline Epistles)

바울서신들 가운데서 몇 서신들을 집중적으로 석의함으로써 바울신학을 연구한다.

3) 교회사 전공

초대교부들의 신학 사상(Theological Thoughts of Fathers)

교리사와 교부학의 기조적인 지식을 토대로 초대 교부들의 원전 연구를 통하여 그들의 삶과 신학사상들을 탐구함으로써 그들이 교리사나 신학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평가하고 그들의 신학사적 정위를 재고한다.

종교개혁자들의 신학 사상(Theological Thoughts of Reformers)

마틴 루터, 츠빙글리, 요한 칼빈, 멜랑톤 등의 기념비적인 종교개혁자들의 삶과 그들의 종교개혁 과정과 신학 사상들을 그들의 원전 연구와 더불어 연구함으로써 종교개혁 후예들의 교회적 전통과 신학적 토대를 이해하고, 아울러 현대 개혁주의 신학의 방향성을 점검한다.

중세교회 신학 사상(Theological Thoughts of Medieval Church)

중세교회 신학사상은 초기 형성과정(6-10세기)과 중기의 수도원 신학과 스콜라주의 신학의 두 유형의 신학의 성립과 특성, 후기의 프란시스회와 도미니크회의 양대 흐름의 신학사상을 연구한다.

정통주의 연구(Studies on the Orthodox Theology)

16세기 중엽부터 17세기말까지 말틴 쳄니츠, 게르하르트, 칼로비스를 중심으로 한 루터파정통주의 신학자들과 스위스, 독일, 화란의 개혁파의 정통주의 신학자들의 신학사상을 연구한다.

경건주의 연구(Studies on the Pietism)

17세기 중엽부터 18세기까지 보에티우스, 콕케이우스, 운데어아익을 중심으로 한 개혁파 경건주의 신학자들과 스펜서, 프랑케, 진젠도르프 등을 중심으로 한 루터파의 경건주의의 주요한 신학자들의 신학사상을 연구한다.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연구(Studies on Liberal Theology of the 19th Century)

독일의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자들인 슐라이어마허, 헤겔, 알브레히트 리츨, 그리고 하르낙 등의 주요한 신학사상의 특징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신학의 문제점을 비판한다.

이단 연구(Studies on Heresies)

기독교 교회 역사상 등장한 다양한 이단들을 신학적으로 논박하면서 특히 현대 기독교 이단들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이단의 침입으로 정통적인 기독교 교회가 진리의 순수성을 잃지 않도록 그 대처방안을 강구한다.

부흥신학 연구(Studies on the Revival Theology)

미국의 제1차와 2차 대각성 운동과 무디 부흥운동, 영국의 감리교 운동과 19세기 부흥운동, 한국의 1907년 대부흥 등을 연구하면서 올바른 부흥신학을 정립한다.

4) 조직신학 전공

개혁주의신학연구(Studies on Reformed Theology)

종교개혁을 기점으로 해서 형성된 개혁주의 신학에 대하여 그 배경과 형성과정과 내용을 개혁교회의 전통에 따라 오늘의 현실속에서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현대신학사상연구(Studies on Contemporary Theology Thought)

현대 교회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다양한 종교적 문제들과 시대적 상황에 따라 새롭게 형성되는 여러 가지 신학적 문제들에 대해 그 사상적 흐름을 파악하면서 문제점들을 연구한다.

기독교윤리학연구(Studies on Christian Ethics)

현대 사회 속에서의 그리스도인의 삶의 도식에 대해 행동의 원칙과 윤리적 기준을 설정하는 학문적 작업과 함께 그 실천적 방법을 성격적 원리의 조명아래 이론과 실천을 동시에 연구한다.

기독교변증학연구(Studies on Apologetics)

현대의 비기독교적 철학의 사상으로부터 기독교 유신론을 변증하는 가운데 기독교의 본질 속에서 개혁주의적 인생관과 세계관을 추구하기 위해 관련서적 탐독과 함께 그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교의학세미나(Seminar on Dogmatics)

교의학의 체계를 이루는 서론, 신론, 인간론, 기독론, 구원론, 교회론, 종말론 등에 대해 그 역사적 이해와 신학적 방법, 그리고 문제점과 위치를 확인하면서 역사적 개혁주의로서의 신학적 입장을 견지하며 탐구한다.

신조학세미나(Seminar on Christian Creeds)

기독교 전통속에서 형성된 교리가운데 교회에 의해서 그 권위를 공적으로 인정받은 믿음의 내용에 대한 객관적 표현으로서의 신조에 대해 그 작성의 역사적 배경과 내용 등을 신조사의 개략적인 연구와 함께 교회와의 관계성에 대해서 탐구한다.

아시아신학세미나(Seminar on Asian Theology)

아시아의 복잡한 종교적, 문화적 상황 속에서 아시아인으로서의 심성과 시각을 가지고, 서구 신학을 평가하며, 아시아적 상황에 적합한 신학적 작업을 모색하면서 아시아 신학의 정체성 확립에 대해 고찰한다.

신학의 철학적배경사세미나(Seminar on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ology)

신학과 철학은 학문적으로 가장 밀접한 관계에 놓여있다. 신학의 배경에 놓여있는 서구철학의 역사를 연구함으로써 신학의 개념형성과 방법론을 심층적으로 읽어보고자 한다.

5) 실천신학 전공

현대실천신학(Practical Theology of Todays)

오늘의 실천신학의 동향가운데 쉴라이에르막허의 교회지도와 칼 바르트의 말씀의 신학에 대한 기초를 분석하고 현대교회 안에서의 교역론, 선교론, 예배론, 설교해석, 목회상담, 기독교교육론을 어떻게 이끌어 갈 것인가? 그리고 교회 밖에서 자연과 인간의 문제, 노인문제, 사회봉사와 복지문제, 여성문제, 장애자문제, 인권문제, 노동문제, 평화문제 등 오늘의 문제에 대하여 신학을 정립하고 과제를 제시하는 과목이다.

인간과 상담심리(Christian Counseling and Humanity)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성서적 어원을 밝히고 인간의 본질, 출생과 죽음, 병, 남자와 여자, 성, 결혼, 개인과 사회를 분석하고 S. Freud, A. Adler, C.G. Jung, V.E. Frankl의 인간의 심리분석, E.G. Williamson, C.R. Rogers, J.E. Adams의 상담 방법론을 비교분석하고, 오늘의 스트레스, 정신질환, 인간의 성장과 발달, 가족관계, 현대인의 정신건강 문제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비교성례론(Sacrament of Churches)

로만 카토릭교회 7성사(세례성사, 견진성사, 고해성사, 종부성사, 혼인성사, 신품성사, 성체성사)와 개신교의 세례의식과 성례의식을 비교분석하고, 일치문서로서 리마문서(BEM)를 분석한다. 그리고 한국의 관혼상제(관례, 혼례, 장례, 제례와 다례)와 관습화된 부분, 접목해야 할 부분 그리고 과제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선교와 교회일치(Mission and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선교에 대한 성서적 이해 그리고 세계교회협의회의 기원과 형성 그리고 일치를 위한 교회의 40년 역사를 분석하고, 역대 총회종합 보고서 분석, BEM문서 분석, 오늘의 선교적 과제인 토착화, 혼합주의, 다원주의를 해결할 방안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오늘의 설교와 화술(Speech and Preaching of Todays)

기독교 복음전파의 과정과 설교가 태생하게 된 동기를 성서적으로 역사적으로 개관하고 성서를 해석하고 설교하는 주석, 강해, 해석, 화술 등, 그리고 오늘의 상황, 커뮤니케이션, 설교유형, 설교자의 능력개발, 교회력 등을 연구한다. 그래서 오늘의 화법으로써 경청법, 대화술, 설득력, 유머어, 면담 및 상담술, 대중연설, 음성개발, 회의법 및 토론법 등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교회의 정치론(Theology and Politics of Churches)

교회의 사회성과 정치성에 대한 고대세계와 성서시대, 그리고 역사적으로 본 교회와 국가의 관계성을 고찰하고, 정치제도로써 교회의 제도에 관하여(교황제도, 감독제도, 회중제도, 대의제도 등) 성경적 근거, 역사적 전개과정 그리고 오늘의 교회직제, 교회와 국가에서 발생하는 교회와 사회문제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기독교와 사회복지(Christianity and Social Welfare)

성서의 사회복지사상을 구약에서 노인과 가난한 자, 노예해방, 토지제도와 사회정의, 생명과 인권사상 그리고 신약에는 예수공동체와 초대교회 공동체의 복지적 관점의 모델을 제시하고 현대 선진국의 미국, 독일의 사회복지의 현황을 보고하고, 한국의 복지를 어떻게 실현 할 것인가를 연구하며 한국기독교 교회의 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설교본문 해석(Interpretation of Preachings text)

교회의 설교는 신학의 케리그마적 활동의 영역으로써 의사소통을 전제로 한다. 의사소통은 설교본문을 청중들에게 전달하는 기능으로 설교자의 인격과 언어, 지식을 통하여 본문의 구약 히브리어 원어적 해석과 신약의 헬라어 원어를 해석하여 본문을 해석하는 능력을 중점적으로 훈련하는 과목이다.

6) 기독교교육 전공

기독교교육과정연구(Studies on Curriculum of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과정의 여러 이론을 탐구할 뿐만 아니라 현재 개발된 기독교교육과정을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현 시대에 부응하는 기독교 교육과정을 설계 할 수 있도록 한다.

현대기독교교육연구(Studies on Contemporary Christian Education)

현대 21세기 기독교교육을 기독교교육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성경적인 기독교교육의 입장에서 재조명하여 개혁주의적 입장에 따른 기독교교육 위상을 정립한다.

교육신학세미나(Seminar on Educational Theology)

기독교교육의 신학적 배경을 고찰함으로 신학과 기독교교육의 관계를 연구하며 개혁주의적인 기독교교육을 정립한다.

기독교교육세미나(Seminar on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논쟁이 되는 것들을 선정하여 이 논쟁들이 어떻게 논의되었는지 살펴보고 더 나아가 기독교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탐구한다.

기독교교육사세미나(Seminar on History of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의 역사적 배경을 분석하고 고찰함과 아울러 현재의 교육과 비교 평가하고 미래의 기독교교육에 대한 좌표를 설정한다.

신앙발달세미나(Seminar on Faith Development)

제임스 화울러와 제일스 로더의 이론을 살피고 그들의 논쟁점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고 개혁주의 입장에서 신앙발달에 대한 견해를 밝힌다.

기독교가정교육세미나(Seminar on Christian Family Education)

기독교 성인교육 바탕 위에서 가정이 가지고 있는 교육의 중요성과 역사를 고찰하여 가정의 교육적 기능을 파악하고 Bushnell의 교육사상을 고찰하여 개혁주의 전통에서 가정교육을 제시한다.

기독교교육상담세미나(Seminar on Pastoral Counseling)

상담의 실제적인 문제들을 연구하고 토의함으로써 삶의 구체적인 상황에서 유능한 상담자로 사역할 수 있는 식견과 자질을 함양토록 한다.

7) 기독교문화 전공

한국교회의 문화사역연구(Studies on the Cultural Work of Korean Church)

현재 한국 교회의 대표적인 문화사역 사례들을 연구하며 앞으로 한국교회의 문화사역이 나아갈 방향을 연구한다.

문화와 철학(Culture and Philosophy)

문화형성에 기초가 된 철학의 체계, 방법론 및 실제를 연구한다. 이 주제를 역사적으로 개관하고 현대문화와 철학의 상호관계를 탐구한다.

개혁주의문화관연구(Studies on Reformed Concept of Culture)

19세기 화란의 아브라함 카이퍼와 스킬더, 20세기 미국의 리차드 니버와 프란시스 쉐퍼, 반틸 등의 문화관을 연구한다.

기독교문화현장론(Practical Study on Christian Culture)

교회와 선교기관 혹은 문화공연기획사 등 문화현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공연 및 문화행사에 관하여 조사, 분석하여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한다.

세계 기독교문학과 예술(Christian Literature and Arts of the World)

문화는 인간 내면 세계의 표출을 기본으로 하므로, 문학과 예술에 대한 연구는 필수라 하겠다. 강좌는 세계의 기독교문학과 예술에 역사, 작가, 작품, 주제, 사조, 예술론 등 다양한 시각을 적용함으로서 문화 이해의 기반을 다진다.

현대사회와 문화기호론(Modern Society and Cultural Semiotics)

정보화 사회로 진입하기까지 인류는 농업사회, 산업사회를 거쳐왔다. 현대사회는 다원적 구조로 거미망처럼 조직되어있다. 문화를 생산하는 주체 또한 다원화 되어서 각각의 의미를 분석, 이해하는 일도 전문적 연구방법론이 적용되지 않으면 안된다. 문화기호론은 사회와 문화현상에 대한 구조적 의미를 파악하게 할 것이다.

기독교세계관특강(Issues in Christian World View)

세계관이란 이 세계의 근본적 구성에 대해 우리가 견지하고 있는 일련의 전제들이다. 따라서 세계관은 문화세계의 본질을 구성하고 있다. 다양한 문화 속에 내재하는 세계관들을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조망하고 평가하며, 동시에 올바른 기독교세계관 정립을 모색해 나간다.

세계선교와 기독교문화(Christian Culture in the World Mission)

해외선교에서 일어나는 현지문화와 복음의 관계를 사례연구를 통하여 분석하고 바람직한 선교방법을 모색한다.

박사과정

1) 구약학 전공

히브리어 구문론(Hebrew Syntax)

단순히 히브리어 문법이 아니라 히브리어 문장들이 어떤 원리에 의해서 구성되며, 문장을 이루는 절의 종류들을(등위절, 주절, 그리고 종속절) 어떻게 구별할 수 있는지를 연구한다. 아울러 동사의 의미를 심도 있게 고찰하고, 어순이 도치될 때 저자의 의도가 무엇인지를 밝힌다. 그 후 이런 통찰력들을 특정 본문에 적용해 본다.

구약 본문비평 (Old Testament Textual Criticism)

구약 본문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 사본과 역본들을 대조하여 원문을 유추할 때 어떤 원리들이 있는지를 연구한다. 구체적으로 구약 각 권에서 사본들과 역본들의 특성을 고찰하고, 그것들이 어떻게 본문비평에 활용할지를 배운다.

구약 신학 세미나(Old Testament Theology Seminar)

구약 신학과 관련된 주제 중에 관심 있는 주제를 택하여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한다. 특별히 신약과 구약간의 통일성과 다양성의 관점에서 구약신학의 주제를 연구한다.

신명기 연구 (The Book of Deuteronomy)

신명기의 구조를 밝히고, 그 구조 속에서 신명기 신학이 무엇인지를 연구한다. 그리고 신명기에 수록된 개개의 법들이 당시 고대 근동 아시아의 법체계와 비교할 때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지 밝힌다. 더 나아가 신명기의 율법과 복음과의 관계를 고찰한다.

열왕기-역대기 연구(Kings and Chronicles)

열왕기와 역대기에 나타난 역사 신학들이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지 연구함으로써, 각각의 신학이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그리고 그런 신학이 하나님의 구속사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 함께 고려한다.

잠언 석의(Exegesis of Proverbs)

잠언의 구조 속에서 개개의 잠언들이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서론인 잠언 1-9장이 어떻게 잠언 전체의 해석적 길잡이가 되는지를 연구한다. 이어서 잠언에 나타난 메시지를 석의를 통해 그 의미를 밝힌다.

에스겔 석의(Exegesis of Ezekiel)

에스겔의 전체 구조와 메시지, 그리고 신학을 먼저 파악하고, 그런 큰 그림 속에서 에스겔서를 단락별로 석의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저자의 의도가 무엇인지를 연구한다.

다니엘 석의(Exegesis of Daniel)

다니엘서의 전체 구조와 메시지, 그리고 신학을 파악한다. 그리고 나서 다니엘서의 본문의 의미를 석의를 통해 드러내고, 그것이 신약의 종말론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밝힌다.

아모스 석의(Exegesis of Amos)

아모스의 구조를 밝히고, 그런 구조를 통해서 아모스의 전체적 신학이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그리고 아모스 본문을 석의를 통해 그 의미를 밝히고, 아모스의 여러 주제들이 어떻게 성경의 다른 본문과 연결되는지를 연구한다.

스가랴 석의(Exegesis of Zechariah)

스가랴서에 대한 최신의 연구업적들을 조사하고, 스가랴서의 구조와 메시지 그리고 신학을 전반적으로 고찰하고, 각각의 본문들을 석의하고, 거기서 도출된 주제들이 어떻게 신약과 연결되는지를 연구한다.

소선지서 연구(The Minor Prophets)

소선지서를 이루는 선지서들의 전체적 흐름을 연구한다. 이 때 소선지서들이 주제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소선지서들이 오늘처럼 최종적으로 배열되었을 때 그 신학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구약의 종말론(Old Testament Eschatology)

구약의 종말론과 관련된 주제들을 고찰하고, 그런 주제들이 어떻게 신약에 나타난 종말론과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통일성을 이루는지를 연구한다.

2) 신약학 전공

고급헬라어강독(Advanced Greek Reading)

신약연구의 필수 요소인 신약성경의 언어 헬라어를 원전강독을 통하여 어휘론, 문장론, 의미론 등의 측면에서 깊이 있게 연마한다.

신약해석사(History of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초대교회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신약연구/해석의 역사를 검토한다. 특히 현대 신약학에서 사용되는 제 방법론(본문비평, 역사비평, 자료비평, 양식비평, 전승사비평, 편집비평, 문학비평, 사회과학비평 등)의 배경과 이론, 그리고 실제를 습득한다.

유대배경(Jewish Backgrounds of the New Testament)

신약성경의 유대 배경을 깊이 있게 개괄한다. 구약성경 이후 시대의 유대 문헌들과 정치적, 문화적 그리고 종교적인 배경을 역사적으로 검토한다.

그리스-로마 배경(Greco-Roman Backgrounds of the New Testament)

신약의 배경으로서 당시의 그리스-로마 문헌을 개괄하고, 정치적, 문화적, 사상적인 흐름을 역사적으로 검토한다.

복음서연구(Studies in the Gospels)

현대 복음서 연구의 주된 논제들을 검토하고, 독자적인 복음서 연구의 기틀을 형성한다. 복음서의 문헌연구와 복음서 신학을 함께 연구한다.

바울서신연구(Studies in the Pauline Epistles)

현대 바울서신 연구의 주된 논제들을 검토하고, 독자적인 바울서신 연구의 기틀을 형성한다. 바울서신 문헌 연구와 바울 신학을 함께 연구한다.

신약신학(New Testament Theology)

신약신학의 연구사를 통하여, 신약신학의 성격과 방법론, 그리고 최근의 연구 경향을 검토한다. 이런 일반론과 함께, 신약성경 특정 문서의 신학이나 특정한 주제를 깊이 있게 검토한다.

누가복음-사도행전(Luke-Acts)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문헌적인 관계에서부터 본문 비평적인 문제와 신학적인 문제를 검토하고, 현금 학계의 본문 해석을 본문 주석을 통하여 검토하면서 독자적인 연구를 추구한다.

로마서-갈라디아서(Romans-Galatians)

바울 서신들 가운데서 대표적으로 로마서와 갈라디아서를 현대 바울 신학계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독자적인 연구를 추구한다.

공동서신-요한계시록(General Epistles and Revelation)

히브리서를 포함하여 공동서신과 요한계시록의 연구경향을 개괄하면서, 신학적인 주요문제들을 검토한다.

신약신학세미나(Seminar in New Testament Theology)

신약신학의 특정한 주제나 과제, 혹은 특정 문서에 대한 신학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깊이 있게 연구할 기회를 갖는다.

신약학세미나(Seminar in New Testament Studies)

최근 신약학 연구의 필수요소인 신약성경의 언어 헬라어를 원전강독을 통하여 어휘론, 문장론, 의미론 등의 측면에서 깊이 있게 연마한다.

3) 교회사 전공

교회사가들에 대한 연구(Studies on Church Historians)

초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역사상 기독교 교회사 혹은 기독교사 서술에 큰 업적을 남긴 교회사가들의 교회사관을 밝히고 그들의 구체적인 교회사 서술 방법을 분석하면서 교회사 서술의 보편적 원리를 터득한다.

16-17세기 신조연구(Studies on the 16-7 Century Confessions)

16세기에 종교개혁의 산물로 작성된 루터파, 개혁파, 재세례파, 성공회, 카톨락 신조와 17세기에 작성된 알미니우스 신조, 개혁파, 회중교회, 침례교, 퀘이커의 다양한 신조를 연구하여 각 신조작성의 역사적 배경과 함께 신학적 특성을 이해한다.

알렉산드리아 신학과 동방신학(Alexandrian Theology and Eastern Theology)

2-3세기의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와 오리겐 그리고 4-5세기의 아타나시우스, 갑바도기아의 3인인 바질, 니사의 그레고리,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 네스토리우스와 시릴의 신학을 삼위일체론과 기독론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중세 전기 신학 사상(Medieval Theological Thoughts Ⅰ)

11-12세기의 중세 신학자들인 베렌가르, 로셀린, 피터 다미안, 안셀름, 피터 아벨라르드, 클레르보의 버나드, 그리고 피터 롬바르드의 신학사상을 연구한다.

중세 후기 신학 사상(Medieval Theological Thoughts Ⅱ)

13-4세기의 중세신학자들인 보나벤추라, 토마스 아퀴나스, 로버트 킬워디, 신비주의자들, 둔스 스코투스와 윌리엄 오캄, 위클리프, 가브리엘 비엘 등의 신학을 연구한다.

동방교회의 역사와 신학사상 (History and Theological Thoughts of Greek Orthodox Churches)

1054년 이후 동방적 교회의 확산 과정을 지리적으로, 역사적으로 살피며 독특한 정교회 문화와 신학 사상들을 로마 카톨릭 교회 및 개신교의 것과 비교 검토한다. 특히 동방 교회의 이콘 신학을 개혁주의 신학적 입장에서 평가함으로써 동방 교회 지역 내의 개혁주의 교회의 정체성 확립을 도운다.

청교도 운동 연구(Studies on Puritan Movement)

16세기 중엽부터 17세기에 걸쳐 영국 국교회의 개혁을 부르짖으며 등장했던 청교도들의 신학적인 주장들의 시대에 따른 변화, 신학적인 유형들, 영국 사회와 신대륙에 미친 영향들을 연구한다.

미국교회 신학사상(Theological Thoughts of American Church)

미국의 교회의 신학사상을 19세기 알렉산더와 찰스 핫지 등의 프린스톤 신학, 루이스 답네와 헨리 톤웰의 남장로교 신학, 20세기의 근본주의 운동과 워필드와 메이첸의 프린스톤 신학과 코르넬리우스 반틸의 웨스트민스터 신학, 루이스 벌코프, 보스를 중심으로 한 화란 개혁주의 등 개혁주의 유형의 신학사상 등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라틴신학(Latin Theology)

이레니우스, 터툴리안, 키프리안, 힙폴리투스, 암브로즈, 그리고 어거스틴 등의 라틴신학의 중요한 신학자들의 신학사상을 삼위일체론과 기독론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칼빈의 신학 논쟁들(Theological Controversies of John Calvin)

개혁주의 신학의 중심을 바로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개혁주의 신학의 토대를 놓은 요한 칼빈의 여러 집단들을 대상으로 한 신학적 논쟁들을 그의 원전 연구와 함께 중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의 신학 논쟁 원리들을 파악하고 그의 다른 저서들의 신학 사상과도 비교한다.

한국교회 신학사상 (Theological Thoughts of Korean Church)

한국에 복음을 전한 선교사들의 신학사상과 함께 한국인들이 형성했던 장로교의 박형룡과 김재준으로 대표되는 개혁주의와 진보주의 신학사상, 최병헌과 양주삼, 정경옥에 의해 형성되는 감리교 신학사상, 이명직, 김응조에 의해 형성된 성결교의 4중복음 등을 연구한다.

현대신학 세미나(Seminars on Contemporary Theologies)

신학사상사적인 맥락에서 현대 복음주의 신학의 동향과 자유주의 신학들의 전개과정을 추적하면서 개혁주의 신학의 입장에서 평가하고 교회에 봉사하는 신학으로서의 현대 신학의 자리 매김을 한다.

4) 조직신학 전공

조직신학방법론연구(Studies on Method of Systematic Theology)

신학의 유일한 원리인 성경을 근거로 모든 자료들을 종합하여 조직신학에 대한 논리적이며 성경적인 체계 형성을 모색하면서 이를 구성하는 다양한 방법론에 대해서 연구한다.

해석학적신학연구(Studies on Hermeneutical Theology)

철학자들의 해석학적인 방법과 신학자들의 해석학적인 방법을 검토하면서 하이데거, 가더머, 리꾀르, 에벨링 등을 통한 해석학적 신학의 주제들을 연구한다.

철학적신학연구(Studies on Philosophical Theology)

스콜라 신학을 비롯하여 칸트, 헤겔, 슐라이에르마허, 도이예베르트, 카이퍼, 스키너, 스토커, 바르트, 불트만, 틸리히, 쉐이퍼, 반틸 등의 사상을 배경으로 신학의 철학적 유용성을 연구한다.

조직신학특별연구Ⅰ(Systematic Theology Special Studies Ⅰ)

성경속의 진리를 학문의 대상으로 하여 체계화하고 조직화한 교리체계를 서론, 신론, 인간론, 기독론, 구원론, 교회론, 종말론 등으로 나누어 신앙과 신학의 원리가 되는 성경적 조명아래 역사적 개혁주의로서의 신학적 입장을 견지하며 심도있게 탐구한다.

조직신학특별연구Ⅱ(Systematic Theology Special Studies Ⅱ)

성경속의 진리를 학문의 대상으로 하여 체계화하고 조직화한 교리체계를 서론, 신론, 인간론, 기독론, 구원론, 교회론, 종말론 등으로 나누어 신앙과 신학의 원리가 되는 성경적 조명아래 역사적 개혁주의로서의 신학적 입장을 견지하며 심도있게 탐구한다.

조직신학특별연구Ⅲ(Systematic Theology Special Studies Ⅲ)

성경속의 진리를 학문의 대상으로 하여 체계화하고 조직화한 교리체계를 서론, 신론, 인간론, 기독론, 구원론, 교회론, 종말론 등으로 나누어 신앙과 신학의 원리가 되는 성경적 조명아래 역사적 개혁주의로서의 신학적 입장을 견지하며 심도있게 탐구한다.

조직신학특강Ⅰ(Systematic Theology Special Lectures Ⅰ)

오늘의 현실사회 속에서 삶을 영위하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도식에 대해 행동의 원칙과 윤리적 기준을 설정하는 학문적 연구와 함께 그 실천적 방법이 오늘의 현실상황 속에 올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성경적 원리의 조명아래 현대의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그 이론과 실천의 방안을 동시에 연구한다.

조직신학특강Ⅱ(Systematic Theology Special Lectures Ⅱ)

오늘의 현실사회 속에서 삶을 영위하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도식에 대해 행동의 원칙과 윤리적 기준을 설정하는 학문적 연구와 함께 그 실천적 방법이 오늘의 현실상황 속에 올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성경적 원리의 조명아래 현대의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그 이론과 실천의 방안을 동시에 연구한다.

조직신학특강Ⅲ(Systematic Theology Special Lectures Ⅲ)

오늘의 현실사회 속에서 삶을 영위하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도식에 대해 행동의 원칙과 윤리적 기준을 설정하는 학문적 연구와 함께 그 실천적 방법이 오늘의 현실상황 속에 올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성경적 원리의 조명아래 현대의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그 이론과 실천의 방안을 동시에 연구한다.

조직신학세미나Ⅰ(Systematic Theology Studies Seminar Ⅰ)

현대교회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다양한 종교적 문제들과 시대적 상황에 따라 새롭게 형성되는 여러 가지 신학적 주제들에 대해 오늘의 교회 현장 속에 바른 신학적 이론 제시를 위해 개혁주의 변증학적 입장에서 연구한다.

조직신학세미나Ⅱ(Systematic Theology Studies Seminar Ⅱ)

현대교회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다양한 종교적 문제들과 시대적 상황에 따라 새롭게 형성되는 여러 가지 신학적 주제들에 대해 오늘의 교회 현장 속에 바른 신학적 이론 제시를 위해 개혁주의 변증학적 입장에서 연구한다.

조직신학세미나Ⅲ(Systematic Theology Studies Seminar Ⅲ)

현대교회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다양한 종교적 문제들과 시대적 상황에 따라 새롭게 형성되는 여러 가지 신학적 주제들에 대해 오늘의 교회 현장 속에 바른 신학적 이론 제시를 위해 개혁주의 변증학적 입장에서 연구한다.

5) 실천신학 전공

실천신학방법론연구(Studies on Methodology of Practical Theology)

신학의 근복적 문제의 출발점은 하나님의 영감에 의한 성경(Text)이다. 그리고 교회의 존재(Church)는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고백하는 신앙에 의해서이다. 그렇다면 고백하는 신앙인의 상황적(Context) 사회문화와의 상관관계, 즉 유비론(Analogie)의 문제를 신학자들의 방법론을 근거로 연구하는 과목이다.

선교사역론연구(Studies on Ministry of Mission)

선교의 출발점에 대한 성서적 근거를 연구하고, 현대 선교학의 동향과 선교현장에서 신학적 문제가 무엇인가? 기독교 역사 속에서 교회는 어떤 선교사역을 하였는가? 그리고 현대사회 문명에 대한 기독교의 선교정책을 어떻게 수립 할 것인가? 그 방법론으로서 복음전파와 사회봉사를 병행하는 선교사역의 모델은 무엇인가? 그런 후에 21세기를 향한 선교적 새로운 비젼을 연구하고 제시하는 과목이다.

카톨릭교회의 7성사연구(Studies on 7 Sacrament of Roman Catholic)

개신교의 성례전은 카톨릭의 7성사를 비판 내지 근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카톨릭의 허황된 것도 있으나 잃어버린 전통적인 가치로서 7성사 연구와 계승하고 발전 시켜야 할 부분들을 연구한다. 그러기 위해서 카톨릭의 7성사에 대한 법전연구와 의식연구를 통하여 개신교회의 새로운 성례전 모델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설교와 해석론연구(Studies on Homiletics and Interpretation)

설교는 성경의 진리를 오늘의 상황에 해석의 기능을 가진 의사소통의 문제로서 설교자의 식견과 원어적 해석, 강해와 주해적 해석을 통하여 공감대를 형성하는 이해를 전제로 한다. 그래서 교회력에 의한 설교개발, 본문의 원어해석, 성경본문의 연관성, 해석의 원칙, 즉 실존주의적 해석, 언어신학적 해석, 복음주의적 해석, 비종교적 해석, 상관관계의 해석을 학자들의 견해를 연구한다.

목회상담심리연구(Studies on Counseling Psychology of Pastoral)

목회상담의 어원적 근거와 신학적 배경을 탐구하고, 심리학의 연구로써 분트와 크라크학파의 '의식적’ 문제와 프로이드와 융의 ‘무의식’의 문제를 바탕으로 한 ‘인간 이해’를 전제하고 지시적 상담방법, 비지시적 상담방법, 권면적 상담방법의 모델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과목이다.

리마문서 “세례, 성만찬, 교역” 연구(Studies on Lima Liturgy“Baptism, Eucharist, Ministry”)

1982년 페루의 수도 리마에서 WCC의 ‘신앙과 직제위원회’가 교회의 일치를 위하여 ‘세례’, ‘성만찬’, ‘교역’이라는 ‘리마문서’(BEM)를 만들어 냈다. 이 회의에서 동방정교회는 물론, 카톨릭교회의 신학자들도 가입하였는데 실질적으로 토의하는 위원 28명중 12명이 카톨릭신학자들이 동참하여 채택하였다는 의미에서 한 몸을 이루는 성례전적 삶을 교역, 안수분야에 까지 접근하고 있는 문서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칼빈의 성례전연구(Studies on Calvin's Sacrament)

칼빈의 기독교강요에 나타난 성례전 부분을 세례와 성만찬으로 나누는데 그 근거를 연구하고, 또한 카톨릭교회의 7성사나 교황에 대한 변증서로서 장로교의 모범을 발견하고 연구하며, 한국교회의 상황에 집례를 위한 제안을 마련하는 과목이다.

타문화권선교 세미나(Seminar on Cross-Cultural Mission)

선교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종교간의 갈등과 불화의 요인은 선교사와 현장의 문화와의 충돌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타 문화권의 이해의 폭을 넓혀 가야하고, 배타적 종교이념을 극복해야 한다. 그러기 때문에 세계 여러나라의 지리, 그리고 관습과 풍습, 종교, 정치, 제도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선교전략을 세우는 과목이다.

미래사회와 미래교회 세미나(Seminar on Future Social and Future Church)

미래사회는 첨단을 달리는 통신수단과 교통수단의 발달, 그리고 관광수단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변모하고 있어 기존 프로그램의 가치가 붕괴되고, 외면되고 있다. 그래서 새로운 가치의 정확한 인식을 토대로 미래교회의 선교를 위한 방안과 변화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목사의 리더쉽 세미나(Seminar on Leadership of Pastor)

목사란 존재의 신학적 근거, 그리고 교회사 속에서 목사사역 영역을 연구하고, 오늘의 변화하는 첨단 과학시대 속에서 인간이해와 지도력을 어떻게 발휘할 수 있을 것인가? 그리고 목사자신의 인간 이해와 첨단과학 시대 속에 사는 문명, 비문명의 인간들을 어떻게 목양사역 이끌어 갈 것인가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문명충돌과 선교사역 세미나(Seminar on Civilization's Crash and Mission's Ministry)

새뮤얼 헌팅턴의 문명의 충돌이란 무엇인가를 연구하고, 성서의 문명과 충돌의 근거와 해답을 신학적으로 연구 토론하며, 종교의 다원화와 문명의 다원화를 어떻게 볼 것이며, 보편주의와 민주주의의 새로운 질서의 수립은 가능한가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기독교와 사회복지 세미나(Seminar on Christianity and Social Welfare)

1990년의 JPIC 서울총회의 문서와 1989년 필립핀 마닐라에서 제2차 로쟌 국제선교대회의 문서를 연구하고 그것을 근거로 “물적복음과 영적 복음의 통전적 합일”이라는 기독교의 사회적 의무와 책임, 그리고 봉사와 복지문제를 카톨릭교회와 개신교회, 그리고 현대신학자들의 견해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6) 기독교교육 전공

기독교교육철학연구(Studies on Christian Philosophy of Education)

교육을 기독교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다루고 기독교 교육철학의 조직 방법을 다루며 기독교교육철학이 여러 교육의 과정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밝힌다.

기독교교육과정연구(Studies on Curriculum of Christian Education)

다른 일반 교육과정의 이론들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분석할 뿐 아니라 성경에 근거한 기독교교육과정의 이론을 탐구하며 실제를 개발한다.

기독교교육사연구(Studies on History of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의 역사적 배경을 분석하고 고찰함과 아울러 현재의 교육과 비교평가하며 미래의 기독교교육에 대한 좌표를 설정한다.

기독교교육방법론연구(Studies on Methology of Christian Education)

효과적인 교수를 위한 교수 - 학습방법 및 교육방법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함과 아울러 바람직한 학습환경 조성 및 교구개발을 위해 연구한다.

교육신학연구(Studies on Educational Theology)

기독교교육의 신학적 배경을 고찰함으로 신학과 기독교교육의 관계를 연구하며 개혁주의적인 기독교교육의 정립을 도모한다.

현대기독교교육사상연구(Studies on Current Thoughts of Christian Education)

현대 기독교 교육가의 사상을 성경적인 기독교교육의 입장에서 조명할 뿐 아니라 개혁주의 입장에 따른 기독교교육론을 탐구한다.

교회교육연구(Studies on Church Education)

오늘날 교회교육 현장의 이해와 분석을 통하여 교회교육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미래 교회교육의 발전을 위한 대안을 탐구한다.

성경교수법연구(Studies on Teaching Method of the Bible)

기독교교육의 기본이 되는 성경에 대한 교수 이론과 실제를 다루어 효과적으로 성경을 연구하고 교수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기독교교육상담연구(Studies on Christian Educational Counseling)

상담의 제 이론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개혁주의적 입장에서 각 이론의 문제점을 밝혀 효과적인 상담을 위한 이론의 정립을 모색하고 이를 교육과 목회에 어떻게 적용할 지를 밝힌다.

기독교가정교육연구(Studies on Christian Education of Family Ministry)

현대 가정의 문제들에 대한 교회의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고 기독교적인 부부관계, 부모의 올바른 자녀교육방법 및 가정생활 전반에 관한 기독교교육에 대하여 연구한다.

기독교교육과 동향연구(Studies on Christian Education and Its Trends)

기독교교육의 요소들과 현대 기독교교육의 동향을 통해서 기독교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문성을 재점검토록 한다.

기독교교육세미나(Seminar on Christian Education)

오늘날 우리 나라 뿐 아니라 서구 여러 나라에서 기독교교육 분야에서의 논쟁점이 되는 주제들을 살펴보고 이해하므로 미래를 향한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전망을 탐구한다.

7) 기독교문화 전공

기독교문화비평(Christian Critique of Culture)

다양한 문화들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비평한다. 세속문화와 기독교문화를 비교연구하며, 기독교문화의 규범적 측면을 다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기독교 문화의 비평적 기능을 학습하고자 한다.

문화와 상상력(Culture and Imagination)

인간의 상상력은 비가시적 형태로 존재하므로 삶에서 무관심 속에 방치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문화는 상상력이 형성하는데도 상상력의 의미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 강좌는 종교적 상상력, 문학적 상상력, 사회적 상상력, 역사적 상상력, 예술적 상상력 등 상상력과 문화의 역동적 관계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고, 그 현상을 분석한다.

그리스-로마 고전문화와 기독교(Greco-Roman Classical Culture and Christianity)

그리스 로마의 고전 문화가 기독교에 끼친 영향과 함께 기독교가 그리스 로마 고전 문화을 변혁시킨 측면을 헬라와 라틴 교부들을 중심으로 연구하며 특별히 어거스틴이 헬라와 라틴의 양 조류를 통합하여 초대교회의 기독교문화를 형성하는 과정을 연구한다.

16세기문화와 종교개혁(Sixteenth Century Culture and Reformation)

종교개혁자들의 개혁활동이 중세 말기의 스콜라주의와 인문주의와의 상호관련하에서 형성되는 과정과 함께 그들의 신학사상이 그 이후 각국의 문화형성에 미친 영향을 연구한다.

근대사회와 기독교(Modern Society and Christianity)

17세기 이후 근대 문명의 형성과정에서 근대문명과 기독교의 상호작용을 연구하여 기독교의 세속화 과정과 함께 기독교가 근대 세계에 미친 영향을 연구한다.

문화인류학(Cultural Anthropology)

오늘날 다문화 상황 속에서 새로운 학문분야로 논의되고 있는 문화인류학을 살펴봄으로서 기독교문화 교육과 선교에 있어서 의미 있는 쟁점들을 공부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기독교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타문화와의 접목가능성과 한계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한국기독교문화운동사(History of Korean Christian Culture)

기독교의 한국선교와 수용을 통하여 나타난 문화변동의 특징과 영향을 분석하고 전통문화와 기독교문화의 바람직한 관계 및 방향을 모색한다.

사이버문화와 기독교(Cyber Culture in Christianity)

오늘의 사이버 및 디지털 문화의 성격과 특징을 분석하고 기독교문화로서의 가능한 수용의 범위와 방법 등을 탐구한다.

문학과 신학통합연구(Interdisciplinary Study on Literature and Theology)

비교적 최근 일어난 연구방법론인 통합연구를 문학과 신학 분야에 적용해 본다. 문학과 신학은 그 근원에 있어서 종교라는 한 줄기에 속해있다. 문학 텍스트 속에 문학 형식으로 내재해 있는 수많은 신학적 사유를 포착하여, 신학함의 문예학적 길을 개발해 본다. 이는 신학으로 하여금 열린 신학이 되게 하며, 문학의 한계를 극복케 하는 상호 보완작용을 이룰 것이다.

문화철학특강(Issues in Cultural Philosophy)

문화철학의 주제와 이슈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문화의 철학적 배경을 살펴보고, 문화 속에 내재한 철학적 문제들을 찾아본다. 그리하여 기독교문화철학의 정립을 위한 문화철학적 소양과 비판의식을 함양하고자 한다.

현대문화신학방법론(Methodology of Modern Theology of Culture)

20세기 문화신학의 연구성과를 따라서 학자 혹은 학파별 연구방법의 차이 및 특징을 살펴본다.

문화이론세미나(Seminar for Cultural Theories)

문화는 어느 한 가지 방법론으로만 규정할 수 없는 다원적인 구성체이다. 여기서는 인문학, 인류학, 사회학, 심리학, 마르크스주의, 커뮤니케이션론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토의하여, 문화현상과 대안에 대한 적확한 이론을 정립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