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박사과정 / 석·박사통합과정
교육의 질적 연구법(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Education)
질적 연구 방법의 철학적 배경, 방법론적 측면 및 평가 방법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교육과 관련된 질적 연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교육연구방법(Methodology of Research in Education)
교육연구의 방법론적인 기초와 개념적인 문제에 관한 이론적인 접근과 더불어 연구문제의 설정과 계획수립, 연구의 설계,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등 연구의 방법과 기술적인 실제 문제를 다룬다.
교육과정특강(Advanced Seminar on Curriculum)
학습주체의 외적 준거와 내적 구조의 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교육과정 원리와 실제를 깊이 있게 연구한다.
교수학습 이론(Theories of Instruction and Learning)
교수학습 과정의 제반 원리, 이론 및 특성을 검토하고 이와 관련한 여러 가지 실증적 연구 결과를 분석한 다음 교수학습과정에 실제로 이론을 적용하여 문제점을 찾아본다.
교육사연구(Seminar in History of Education)
교육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 탐구한다.
한국교육발전론(The Educational Development in Korea)
근대 이후 한국교육발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주제에 대한 역동적인 이해를 위해, 이 강좌는 한국교육 근대화의 역사적인 흐름과 교육의 역할 및 의미의 변천, 그리고 교육에 대한 쟁점을 체제 및 정책 등 다양한 맥락 속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개인연구지도 I (Directed Research I)
개별적 관심주제에 따라 연구계획을 설정하여 진행하며 정기적 면담을 통해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는다.
한국언어문화교육I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
한국어와 문화교육의 맞춤형 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정확한 한국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한국언어문화교육II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I)
한국어와 문화교육의 맞춤형 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정확한 한국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비교교육론(Seminar in Comparative Education)
비교교육학의 목적과 의의, 주요 이론을 연구하고, 교육제도와 정책, 교육개혁 등을 국가간 상호 비교 연구함으로써 비교교육학적 관점과 분석 능력을 고양한다.
개인연구지도 II (Directed Research II)
개별적 관심주제에 따라 연구계획을 설정하여 진행하며 정기적 면담을 통해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는다.
한국언어문화교육(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한국어와 문화교육의 맞춤형 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정확한 한국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개인연구지도 III (Directed Research III)
개별적 관심주제에 따라 연구계획을 설정하여 진행하며 정기적 면담을 통해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는다.
통계적 방법 (Statistical Methods)
교육연구에 필요한 통계적 분석방법, 의사결정의 통계적 이론과 자료분석 이론 및 자료분석과 처리문제를 다룬다.
한국문화와교육연구 (Research in Culture and Education in Korea)
한국문화의 성격과 내용을 이해하고, 그것이 제도적 및 비제도적 교육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여 나타나는가를 연구한다.
상담심리연구(Seminar in Counseling Psychology)
주요 상담이론의 배경과 특성을 학습·이해하고 문제행동의 변화와 성장발달을 촉진하는 심리적 요인들을 연구한다.
① 박사과정 / 석·박사통합과정
고등교육연구 (Seminar in Higher Education)
고등교육의 제반문제 즉 목적, 이념, 구조, 기능, 대상, 자원 생산성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고등교육의 주요개념을 파악한다.
교원전문성개발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교원 전문성의 개념과 관점, 전문성 개발의 방법과 원리를 이해하고, 한국 교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연구한다.
비교고등교육론 (Comparative Higher Education Theory)
선진국과 주변국의 고등교육현상을 그 나라의 정치적·경제적·사회문화적 배경과 관련하여 비교·분석·해석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과 연구방법, 다른 나라의 문화, 교육역사, 행정체계, 학교제도, 교원양성제도 등을 다룬다.
교육조직의 리더십 (Leadership in Educational Organization)
리더십의 개념과 의의, 원천, 과정, 유형 등을 이해하고, 교사와 교육행정가의 리더십 사례를 관찰하여 효과적인 리더십 전략을 탐구한다.
학생생활지도 연구 (Seminar in Student Guidance Service)
효율적인 청소년 지도를 위하여 일반교사, 카운슬러, 학교행정가들에게 필요한 교육현장에서의 생활지도의 원리와 실제를 연구한다.
교원발전이론연구 (Research in Teacher Development Theory)
교원 발전의 개념과 관점, 전문성 개발의 실천과 원리를 이해하고, 고등교육 교사의 전문성 발전을 위한 효과적인 이론 등을 다룬다.
① 박사과정 / 석·박사통합과정
예술학개론 (Introduction to Art Studies)
예술 관념과 예술적 표현에 대해 이해하도록 하며 예술사의 틀 속에서 예술 관념의 형식, 색채, 공간 등 구성요소, 예술 기본개념에 대한 전문성을 이해하도록 한다.
예술교육연구방법 (Method and Path of Art Education Research)
예술교육연구의 방법론적인 기초와 개념적인 문제에 관한 이론적인 접근과 더불어 예술연구문제의 설정과 계획수립, 예술연구의 설계,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등 예술연구의 방법과 기술적인 실제 문제를 다룬다.
세계예술사 (History of World Art)
세계예술사은 세계예술 및 예술역사의 연구 방법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과목으로, 궁극적으로는 기존의 동서방 예술역사 통하여 예술에 관한 역사․철학적 안목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예술교육현장의 이해 (Art education: comprehension and practices)
이 과목은 향후 예술교육교사로 현장에 배지되기 전에 예술교육현장을 이해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분석,교수,평가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기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예술교육현장의 사례토의,체험 및 실습을 목적으로 한다.
① 박사과정 / 석·박사통합과정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Psychological Foundation of Education)
교육심리학의 주요 이론에 대한 기본 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수업을 구성함. 학습자의 제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바람직한 변화를 추구하기 위하여 심리학적 측면에서 교육과 학습자를 이해하도록 한다.
교육심리학연구(Seminar in Educational Psychology)
교육심리학은 인간학습과 교수, 심리적 안녕 등 교육과 관련된 영역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통해 학습의 효과와 학습자의 발달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교육심리학에서 연구되어 온 기초이론 및 실제응용사례를 배우게 된다. 구체적으로 인지발달이론, 언어 학습, 사회 정서 발달이론, 학습자의 차이 및 지능 , 동기, 협동학습, 수업 평가 등 주제를 학습하며 이론을 기초로 한 교육현장적용사례를 학습하게 된다.
학습심리 연구(Seminar in Human Learning)
학습, 기억, 인지과정 등을 통해 일어나는 학습의 제반과정을 이론적 고찰과 최근의 연구결과를 수집, 분석한다.
교육측정·평가이론(Seminar in Educa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학력 검사의 제작, 표준화 검사의 선정과 사용 및 검사 결과의 평가와 해석에 대한 제반 이론을 연구한다.
교육심리측정 연구(Seminar in Psychometrics)
교육심리 측정이론을 형성하는 중요한 주제인 준거 관련 검사, 검사의 타당도, 검사의 동등화, 문항의 편향성, 컴퓨터 개별 적응검사, 변화의 측정, 그리고 일반화 가능도 이론 등을 토의 및 연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