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박사과정 / 석·박사통합과정
예술학개론 (Introduction to Art Studies)
예술학 개론은 예술 활동의 기본원리를 연구하는 과정이며 예술의 기본적 성격과 예술의 특성을 목표로 하는 과목이며 예술감상과정의 기초이론과정 중의 하나이다. 예술활동을 분석하며, 연구함으로써 예술의 본질 및 규율을 밝히고, 사람들이 예술의 특정한 규율에 따라 예술 감상 및 예술 창작을 하도록 지도하며 사람들의 예술 수양을 향상 시키는 과목이다.
예술철학특강(Special lecture on Philosophy of Art)
예술의 본질 또는 현상에 대해서 그 원리를 고찰하고 예술에 관한 근본 원리를 연구하는 수업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예술 작품은 어떻게 규정되며, 그것을 해석하는 방법과 논리는 어떻게 설정되는가, 예술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며 그것의 기능과 가치는 어디서 찾을 것인가 등이 있다.
세계예술사 (History of World Art)
세계예술사는 세계예술 및 예술역사의 연구 방법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과목으로, 궁극적으로는 기존의 동서양 예술역사 통하여 예술에 관한 역사․철학적 안목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예술연구방법 (Methods of Art Research)
예술연구의 방법론적인 기초와 개념적인 문제에 관한 이론적인 접근과 더불어 예술연구문제의 설정과 계획수립, 예술연구의 설계,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등 예술연구의 방법과 기술적인 실제 문제를 다룬다.
한국문화연구 (Korean Cultural Studies)
한국문화연구는 한국의 역사, 문학, 예술, 언어 등 다양한 문화적 측면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학문 분야이다. 이 과목은 한국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과 그 발전 과정을 분석하며, 한국 사회와 인류사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한국문화연구는 학생들에게 한국의 역사와 전통, 종교와 철학, 예술과 문학 작품들을 폭넓게 이해하고 해석할 기회를 제공한다. 주요 주제로는 한국의 역사와 전통, 국민적 기호체계 및 상징, 언어와 문학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이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한국 문화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넓혀가며 중요한 인문 예술적 소양을 갖출 수 있다.
현대 대중문화론(Theory of Modern Popular Culture )
대중문화를 그 이론적 배경에서부터 실제 행위까지 다룬다. 특히 현대사회에서 문화의 의미와 변화, 문화의 사회적·정치적·교육적 기능 및 의미작용의 메커니즘 등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이론들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 각지에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문화적 현상들을 분석한다.
미학원론 (Principles of Aesthetics)
미학의 성립 과정과 의의를 연구하고 미술 작품에 관련된 기본적인 문제를 연구한다. 미와 예술의 규범학으로서 현상의 미와 예술에 대한 본질 규정적 사색, 예술 작품 해석의 방법, 원리 및 미적 판단력과 예술적 세계관의 형성 등을 논의하여 미학의 방법적 기초 개념과 그 체계적 과제를 이해시킨다.
예술창작이론 (Theory of Art Creation)
예술가가 창작 과정에서 주관적인 감정과 객관적인 생활의 관계에 대해 가지는 기본적인 태도와 그에 따르는 기본원칙을 소개한다. 예술 창작의 다양한 이론을 소개하고 수강생들에게 실제 창작을 하고 토론하도록 한다.
문화산업이론 (Introduction to Culture Industries)
문화산업 이론은 문화산업 총론과 문화산업 각론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문화산업의 역사와 현황, 문화산업의 자원과 분류, 문화산업과 문화시장, 문화산업의 기능과 메커니즘 등을 다루고 있어 문화산업 이론연구자에게 적합하다.
예술비평이론 (Theory of Art Criticism)
예술비평론은 예술작품에 관한 설명, 작품 의의에 관한 해석, 더 중요한 것은 작품의 가치에 관한 평가 등을 다루고 있다. 예술비평의 목적은 작품의 감각적 경험에 대한 해석뿐만 아니라 작품의 가치 및 의의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술사연구(Study of Art History)
예술사연구는 예술사와 예술이론을 소개하는 기초 과정이며, 인류 역사과정에서 발전하고 변화하는 예술 현상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다양한 민족, 다양한 역사적 시기의 예술형태, 예술 스타일, 예술 흥미 및 시대정신의 진화 변천을 고찰하며, 이러한 발전을 바탕으로 예술발전의 내재적 변인 및 일반적 법칙을 찾아내도록 한다.
예술교육이론 (Theory of Arts Education)
예술교육연구의 방법론적인 기초와 개념적인 문제에 관한 이론적인 접근과 더불어 예술연구문제의 설정과 계획수립, 예술연구의 설계,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등 예술연구의 방법과 기술적인 실제 문제를 다룬다.
예술심리학특론(Topics in Psychology of Art)
미학 및 예술학적 이해를 바탕에 두고 예술과 인간 심리 사이의 제반 문제들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을 이해함으로써 하나의 예술학으로서 예술심리학의 미학적 위상을 탐구한다.
예술교육과 질적연구 (Art Research and Qualitative Analysis)
교육적 도구로서의 예술의 특질을 고찰하는 가운데 예술교육의 질적 방법론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논문 작성의 필수적인 교양을 습득한다.
문화예술논문작성법 (Methods of Culture and Art Thesis Writing)
문화와 예술 영역의 학술활동에 필요한 방법론적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목적으로 자신의 연구를 수행하는 것과 다른 연구자의 연구결과물을 읽고 해석하며 자신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한다.
① 박사과정 / 석·박사통합과정
동양미술사 (History of Oriental Arts)
동양 미술의 흐름을 거시적으로 개관하여 인간 미술의 특성을 역사적인 시각에서 이해하고, 지리적․역사적으로 우리와 관계를 지닌 중국, 인도 등의 아시아 미술이 어떻게 형성, 발전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는가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주로 중국과 인도 미술의 흐름을 개괄적으로 정리하고 그들 사이의 특징을 비교하여 각 미술 문화 발전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조형예술론(Theory of Plastic Arts)
건축, 조각, 회화, 공예란 시각예술의 네 장르가 안고 있는 독특한 성격 및 각 장르간의 상관관계, 예술작품의 사회적 기능과 의의, 예술과 비예술간의 구별문제, 20세기 미술의 위기의식, 앞으로의 과제 등에 대한 윤곽을 잡아준다.
미술감상 (Art Appreciation)
이 과정은 감상의 기술, 보는 방법과 소통의 기술을 동시적이며 실제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 나아가 미술교육의 현장에서 감상을 통한 객관적인 방법론의 탐색과 실천적인 지도법을 구축하고 결합하려는 시도를 통해 미술교육의 새로운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한다.
도상학특론(Theory of Iconography)
도상학과 도상해석학은 미술작품에 재현된 내용을 연구하는 미술사의 분야이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해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미술작품의 도상 및 전통을 분석하고 이해하며, 또한 작품이 탄생한 맥락을 함께 연구에 동원함으로써 작품의 근본적 의미에 다가가고자 시도한다.
미학문헌연구 (Study of Art Literature)
미학적으로 중요한 고전적, 현대적 저작들을 직접 읽으면서 해독하고, 그 해독의 결과를 바탕으로 저작들의 논지를 오늘날의 시각에서 평가하고 반성한다.
미술과 시각문화 (Art and Visual Culture)
현대사회에서 시각문화의 비중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시각문화의 다양화와 사회적 생산구조의 대량화는 정통미술분야에서도 심도있는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시각문화론의 다양한 접근아래 미술의 새로운 지평을 검토한다.
한국미술론특강 (Seminar on Korean Art)
유구한 한국미술의 역사 속에서 한국 미술이 지니고 있는 미학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는 강좌이다. 한국미의 원형탐구를 통하여 시대별, 장르별, 지역별 특징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한국미술의 원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색채문화연구 (Research on Color culture )
색채는 인간의 생활 세계를 형상화하였으며, 문화의 외적 표징이 되었다. 이 수업은 10가지의 주제에서 출발하여 역사를 서점으로 하여 색채를 하나의 체계적인 문화 전체로 삼고, 문헌 자료와 미술 이미지의 상호증거에서 고대색채 이면에 풍부한 역사문화 내용을 전개한다.
미술심리학연구(Art Psychology Research)
미술 창작은 인간의 복잡한 심리적 및 행동적 과정이며, 미술 창작이나 감상 모두 일련의 심리적 활동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심리학, 미학을 결합하여 미술 심리의 법칙을 탐구한다.
① 박사과정 / 석·박사통합과정
현대디자인특론(Advanced Theories of Modern Design)
현대 디자인학을 형성하고 있는 다양한 이론 및 주요 논제들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현대와 미래의 디자인을 선도할 수 있는 관점을 형성하고 총체적 디자인 지식체계를 연구한다. 또한 현대 디자인이 가지는 변화요인을 통해 현대디자인의 다각적인 모습을 해체하고 이를 재정립해본다.
디자인역사와 비평(History of Design and Criticism)
디자인의 역사, 디자인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을 고찰하고 디자인의 목적, 디자인과정, 인간과 디자인과의 교류 등 다양한 관점에서 주제를 분석하고 비평한다.
디자인경영 (Design Business Management)
제품 개발에 있어서 시장의 요구와 디자인개발의 메가 프로세스 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디자인관리 행위를 연구하고 있다. 디자인을 기업 활동의 핵심요소로 인식하고 기업경영에 있어서의 보조행위로서의 디자인이 아닌 주요 경영요소로서의 디자인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시각디자인방법론 (Methodology of Graphic Design)
사회 문화 속에서 유통되는 시각디자인 사례를 선정해 디자인 문제를 진단, 조사, 분석, 기록한 결과로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디자인에 필요한 발상, 글쓰기, 말하기 능력을 기른다.
도상해석학과 예술의 문제(Iconology and Problems of Art)
예술 개념의 역사적 발전의 맥락아래 도상학 및 도상해석학의 탄생과 기원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면서, 특히 미술사학의 방법론적 의미에서 독자성을 드러내면서 작품 및 그 시대의 의식 내지 이념 분석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는 도상해석학의 미학적 의의를 탐구한다.
작품자료집(Portfolio of Art Works)
자료적 측면에서 창작품의 분류, 정리, 활용 등의 효용성을 탐구하며 그것의 실제 연습을 시행한다.
한국근현대디자인사(History of Korean Design culture)
한국에 있어서 각 시기별 디자인 모델을 소개하고, 디자인과 경제의 상호 작용 관계를 탐구하며, 한국 디자인의 역사를 연구하면서 한국 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디자인심리학연구 (Design Psychology Research)
인간의 디자인 창조 및 수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 현상과 그 활동의 법칙을 연구하며 디자인학, 심리학, 미학을 결합하여 디자인 창작에 관한 심리학적 기반을 수립한다.
① 박사과정 / 석·박사통합과정
음악문헌연구(Music Literature Research)
음악의 분석적인 지식만이 아니라 작곡가의 스타일, 그 시대적 배경, 문화적 영향 등 훨씬 더 포괄적인 내용을 알아야 하는 부분들을 음악문헌 수업을 통해 각 시대마다의 특징, 스타일을 이해하고 그에 속한 작곡자들을 심도 있게 연구하여 문헌적 지식을 넓혀감으로써 연주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음악예술사(History of Art and Music)
예술이 어떻게 예술가과 감상자 사이에 공감대를 형성케 하였는지에 대하여 연구한다. 현재까지 발달된 학문의 역사와 그 역사의 과정에서 형성되어 온 연구분야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음악과 관련된 음악 전반에 대해 토론하고 이해하는 것과 동시에, 이를 위한 중요한 학문으로의 음악학을 배우기 위한 수업이다. 실제 음악행위, 즉 창작, 연주, 감상에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배우고 활용한다.
음악학(Musicology)
음악을 학문의 대상으로 삼고 연구하는 분야인 음악학의 역사와 연구분야를 탐구하는 수업이다. 근대 이후 형성되어 현재까지 발달된 학문의 역사와 그 역사의 과정에서 형성되어 온 연구분야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음악과 관련된 음악 전반에 대해 토론하고 이해하는 것과 동시에, 이를 위한 중요한 학문으로의 음악학을 배우기 위한 수업이다. 음악학이 실제 음악행위, 즉 창작, 연주, 감상에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배우고 활용한다.
음악미학(Aesthetics of Music)
고대부터 현대까지 중요 미학 사상을 철학적 측면에서 이해하고, 미학 사상은 실제로 음악작품 및 연주와 어떤 연관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하여 연구한다.
현대음악연구 및 실습(Workshop in Modern Music)
20세기 음악의 다양한 실험적 요소를 분석 연구하고 대표적인 작품들을 주법과 기능을 실습으로 익히고 연습하여 연주한다.
음악심리학연구 (Music Psychology Research)
음악교육에서의 심리학의 의의와 필요성을 이해하고, 음악교육의 여러 분야의 심리학적 지식과 그 응용을 제시하여 음악교육에 관한 심리학적 기반을 수립한다.
음악교육연구방법 (Music Education Research Methods)
음악교육연구에 필요한 연구방법과 연구 분석에 대하여 심화하여 이해한다. 관계 문헌과 연구사례를 통하여 음악교육연구의 동향과 현장에서의 적용방법에 대하여 고찰한다.
음악감상과 문헌(Music Appreciation and Literature)
음악 문헌을 이해하고, 음악 감상을 통하여 심미적 체험과 포괄적인 음악성 함양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음악 문헌 작품의 효과적인 음악 감상 지도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서양음악이론과 실제(Western Music Theory and Practice)
음계, 화음, 형식 등의 서양음악이론을 기초로부터 직접 경험하는 형식으로 배우고 교과서에 나온 곡들과 활동에 어떤 이론이 뒷받침 되었는지 알고 실제로 적용하여 이론과 실기를 결합 시킨다.
① 박사과정 / 석·박사통합과정
예술비교연구(Comparative Study of Art)
일국의 예술연구를 넘어 아시아 문화권을 중심으로 각 예술 이론적 개념을 토대로 한·중 등 나라의 예술을 비교분석 연구한다. 또한 미술, 음악, 디자인 등의 대중예술과 각 국가 이데올로기, 대중매체 등과의 관계에 대하여 비교하여 연구한다.
예술인류학(Anthropology of Art)
예술인류학은 문화인류학의 방법을 활용하여 예술의 본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예술형식분석, 유형분석, 구조분석, 공예 과정과 장면 기술을 통하여 예술의 문화이념을 설명함과 동시에 형식, 감정, 열정, 상상 등 예술연구자들의 관심사를 학습한다.
공예와 문화 (Craft and Culture)
이 강좌는 목적은 전통공예문화의 발생, 발전, 번영 과정을 이해하여 공예 미학의 기본이론을 익히는 것이다. 다양한 실제 사례를 활용하고 각 역사 시기의 공예품의 예술적 가치, 역사적 배경을 학습하면서 예술적 디자인 발상을 넓혀 주고자 한다.
색채이론(Color Theory)
이 강좌는 색채 인식과 표현에 대한 종합적인 능력을 배양하고 명확한 색채 개념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의 과학적 관찰 방법을 기르고, 색채의 정서적 품격을 체험하며, 색채의 미적 법칙을 익히고자 한다. 명확한 색채 관념을 확립하며, 학생들이 색채의 시각적 감수성을 계발하고, 학생들의 색채 상상력과 창의력을 기르며, 학생들의 색채에 대한 처리와 표현력을 강화한다. 색 표현 기법을 익히면서 시각 미적 함양과 창의적 응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예술학문헌연구 (Study of Art Literature)
예술학적으로 고전적, 현대적 저작들을 직접 읽으면서 해독하고, 그 해독의 결과를 바탕으로 저작들의 논지를 오늘날의 시각에서 평가한다.
예술작품분석세미나(Seminar on Art Work Analysis)
창작품의 자료적 측면에서 분류, 정리, 활용 등의 효용성을 탐구하며 더불어 그 명작들의 작품의 분석적 방법을 익히고 자신의 작품을 스스로 분석, 비교하며 반성의 기회가 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