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석사과정
환경화학 및 신소재특론 (Topics in Environmental Chemistry and New Material)
환경오염처리, 환경관리, 생태계 변화 등에 있어서 관련된 모든 화학적 현상과 반응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관련 핵심 소재의 최근 연구 동향 및 기술적 접근을 통해 미래 지향적 관점에서 환경 오염개선의 실현을 위해 개발되어야 할 신소재의 기능을 강의함.
상하수도 특론 (Advanced Water Supply Materials)
상∙하수도 시설의 계획 및 설계, 설치, 운영 및 수질관리 요령을 파악하고 관로오염 방지 신기술, 상∙하수도 시설의 설비 구성재료 등에 관한 학습 후 최신 상∙하수도 신기술에 관하여 종합적인 학습함.
환경 신소재 특론 (Advanced Environmental New Materials)
친환경 산업용 신소재에 의한 환경오염을 사전예방하거나 최소화하여 환경문제를 개선하는 환경신소재의개발 및 적용법에 관하여 학습하며, 환경신소재의 연구방향은 저독성 및 무독성화, 고효율를 위한 기존소재의 개량 및 신소재 개발 등을 다루며 이를 이용한 신공정 등을 강의함.
바이오 에너지 특론 (Advanced Bio-Energy)
바이오매스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를 식물유기물 및 동물유기물 등을 열분해하거나 발효시키면 메탄 또는 에탄올(알코올의 일종) 등의 액체(에탄올) 또는 기체연료(메탄)를 얻는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 생산방법에 대하여 학습하고 특히 기존 에너지와 비교하여 장, 단점을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재생에너지원으로서의 적용가능성을 높이는 기술에 대하여 학습함.
고효율 건조 공정 특론 (Advanced Drying Process)
저에너지 저오염 건조공정을 통한 건조율 향상기술에 대하여 학습하고 기존의 물리, 화학적 건조기술의 장, 단점을 비교분석하여 최적 건조공정의 설계능력을 배양함.
에너지 절감 청정기술 (Cleaner Production for Energy Saving)
본 에너지절감 청정기술 강좌에서는 기존의 저에너지효율기술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에너지효율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에너지 절감형 정정기술을 학습을 통하여 한정적인 자원 및 에너지 그리고 온실가스 저감 기법을 습득하고 정량적 환경오염부하량 평가를 통하여 관련 산업 정책 입안에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함.
환경친화형2차전지특론 (Environmentally-Friendly Secondary Battery)
친환경에너지변환 및 저장 체계의 원리를 소개하고, 학생들은 등가회로, 열역학, 반응속도론 및 전달현상에 관하여 학습함. 구체적으로, 본강좌는 전지, 연료전지, RFB 및 수퍼커패시터 등의 영역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더 나아가 리튬전지, RFB, URFC와 같은 이차전지 시스템의 전기화학기초를 다룬다. 또한 이차전지의 실제 응용도 함께 고찰함.
환경신소재성형기술 (Forming Technology of New Environmentally-Friendly Materials)
환경분야의 유.무기재료 대체용 저독성, 환경친화형 신소재 개발 및 저공해 공정개선 관련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및 향후 개발방향에 참여하고 심층분석하여 창의적 연구자세를 습득함.
VOCs저감생산기술 (VOCs Decrease in Production Technology)
VOCs류 다량 배출을 야기하는 각종 산업생산현장에서 소재 및 공정개선을 통한 VOCs 배출저감공정 도입현황, 대체소재기술 및 현장실례에 대한 전반적 개선방향을 도출토록 토론함.
생물학적 폐수처리(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호기성 미생물, 혐기성 미생물, 폐수처리장에서 미생물의 이용방법 등 폐수처리에 관련된 미생물의 전반적인 분야를 다루고 생물학적인 폐수처리시설의 생분해에 관한 이론과 공법의종류, 운전 및 설계에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다룸.
물리화학적 폐수처리(Physio-chemical Wastewater Treatment)
물리적 폐수처리의 기본원리와 화학적 폐수처리의 화학반응에 대해 소개하고 침전, 응집, 부상, 이온교환, 막분리, 펜톤산화, 소독 등 여러 가지 물리화학적 처리 공법에 대하여 운전 및 설계에 대해 학습함.
환경시스템공학특론(Advanced Environmental Systems Engineering)
수질관리, 수처리, 대기오염 및 지하수 및 토양오염 분야에서 시스템적인 해석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 강의한다. 즉, 유체유동 및 오염현상의 해석을 위한 물리, 화학, 생물학적인 기작에 대한 이론을 이해함.
환경정책론(Special Topics on Environmental Policy)
국가의 자연환경, 수환경, 대기환경, 폐기물관리등과 같은 환경문제에 대해 고찰하여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연구, 토의한다. 또한 경제와 환경간의 연관성, 환경정책의 목적과 수단에 대해서도 학습함.
온실가스배출저감기술(Green Gas Emission Reduction Technology)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수증기, 이산화탄소, 메탄과 산화질소, 염화불화탄소(프레온 : CFC : chloro fluoro carbon)등의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의 저감기술에 관하여 실례를 중심으로 총론적으로 학습함.
② 박사과정
저탄소냉매대체기술 (Techniques for Low Carbon Refrigerant Replacement)
냉동/공조설비에서 널리 사용되고 CFC에 비해서는 오존층 붕괴지수가 낮지만 여전히 오존층을 붕괴시킬 가능성이 큰 HCFC22의 대체냉매로 HFC계열냉매인 R32, R125를 포함한 혼합 냉매 및 타대체 친환경냉매에 대하여 강의함.
막분리기술특론 (Special Topics in Membrone Sepovation Technology)
각종 환경오염물질의 경제적이고 효율적 제거에 필요한 Membrane Separation 기술관련 시스템과 실응용분야에 관하여 강의함.
LCA특론 (Advanced Study in LCA)
온실가스배출저감기술 강좌에서는 기존의 온실가스배출을 고려하지 않는 기술 또는 제품 개발에서 온실가스배출을 줄일 수 있는 각 산업 전반의 기술을 기반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정적인 자원 및 에너지 그리고 온실가스 저감 기법을 습득하고 정량적 환경오염부하량 평가를 통하여 관련 산업 정책 입안에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환경공학도 육성을 목표함.
청정기술특론 (Special Topics in Clean Technology)
공장내의 생산공정의 효율증대 및 기술개선 등을 통한 환경오염물질 배출을 원천적으로 사전 예방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로서 단위공정 축소, 공정개선 및 최적화, 생산공정관리, 원료, 제품기술 원료의 변경에 의한 총 발생 오염물질을 감소시키거나 환경친화적 제품으로 전환시키는 기술, 이차 환경오염물질 발생 원료 등의 대체 가능한 청정원료, 기존 제품 대비 환경 친화적 제품 제조 및 설계 등에 관하여 학습함.
바이오에너지특론(Advanced Bio-Energy)
바이오에너지를 이용한 설비시스템의 분석과 설계기술을 습득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
온실가스저감LCA(LCA for Green Gas Emission Reduction)
지구온난화 문제이 영향권내에 있는 우리나라는 대기 중의 온실가스(GHGs: Greenhouse Gases)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온실효과가 발생하여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음.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6대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육불화황이 있음. 우리나라도 구체적인 기후변화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 연구개발, 탄소배출거래제도 등의 도입과 온실가스 저감 목표를 달성하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관리방안 도출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음. 본 과목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각 산업별로 주요 온실가스 발생방지 또는 저감을 위한 방안을 설계단계부터 폐기시 까지의 LCA기법에 의해 해석함.
VOCs저감생산기술(VOCs Decrease in Production Technology)
생산공정이나 제품사용시 또는 생활환경속에서 발생되는 대기중 유기용제류 등의 유독성 휘발성유기물질(VOCs)의 사전오염예방기술에 대하여 학습함. 휘발성유기물질은 일반 대기중에 방출되면 확산성으로 인해 제거가 어려우며 넓은 범위에 걸쳐 유해성이 있고 기후변화에도 영향을 줌으로 대기중 휘발성유기물질 방출량을 원천적으로 저감하는 공정개선, 사전흡착제거기술 더나아가 무독성 대체용제개발 관련하여 중점 학습함.
환경친화형2차전지특론(Advanced Environment-friendly Secondary Cell)
친환경에너지변환 및 저장 체계의 원리를 소개하고, 등가회로, 열역학, 반응속도론 및 전달현상에 관하여 학습한다. 구체적으로, 전지, 연료전지, RFB 및 수퍼커패시터 등의 영역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환경친화형 소재를 적용한 리튬전지, RFB, URFC와 같은 이차전지 시스템의 전기화학심화 학습을 강의함.
친환경공정성세미나(Seminar in Eco-friendly Processes)
생산과정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거나 신공정을 적용하여 오염물질 근원적 저감, 유해물질 제거, 유해물질회수 및 재순환하는 무방류, 무배출 공정기술 개발과 관련한 산업분야별 실적용 친환경공정 사례를 중심으로 세미나 수업을 진행함.
친환경소재세미나(Seminar in Eco-friendly Materials and Products)
제품설계단계에서부터 환경 및 자원보전을 고려한 환경친화형 용제, 첨가제 및 내분비교란 물질 등의 대체물질 오염물질 제거효율 향상제품, 환경친화형 소재, 제품 등의 실개발 사례를 중심을 세미나 수업으로 진행함.
환경기술비지니스특론(Advanced Study in Business and Technology for environment)
지구환경문제의 하나인 지구온난화 방지기술로서 기대되고 있는 풍력、태양광·열、바이오매스 등 재생에너지의 이용관련 최첨단 기술에 대해 구체적으로 강의한다. 또한 재생에너지 이용기술의 국내외 시장과 정부의 정책 등을 강의함.
환경관리세미나 1(Environmental Management Seminar 1)
환경관리에 관한 최근의 핫이슈를 분석, 검토하고 각자의 연구분야에 대한 진행과 함께 문제점을 토의함.
환경관리세미나 2(Environmental Management Seminar 2)
환경관리에 관한 최근의 핫이슈를 분석, 검토하고 각자의 연구분야에 대한 진행과 함께 문제점을 토의함.
③ 석·박사통합과정
연구논문작성법 (Research Paper Writing Methods)
석·박사학위 이공학연구논문 특성, 독창성, 논문작성 체계, 논문 주제, 작성목적, 연구범위, 연구방법, 및 작성논문의 실용성 여부평가를 실례를 들어 학습함.
흡착소재기술 (Adsorption material technology)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CCS, CCUS 기술은 여러 학문 분야가 융합 및 복합되어야 완성될 수 있는 종합적인 개념의 기술로 흡착소재의 활용과 응용 기술에 대해 강의함.
신재생에너지기술 (New & renewable energy technology)
회근 국제 환경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에너지, 환경, 경제에서 나타나는 에너지 문제. 즉, 화석에너지에 의존한 방법을 신재생에너지 기술로 극복하고자 함.
표준시험안전특론Ⅰ (Advanced Standard Testing and Safety Ⅰ)
모든 산업제품의 체계적 품질관리를 위한 표준의 제정하고 표준에 따른 성능평가를 위한 시험 안정성확보기술에 대한 종합적 전문지식 교육함.
표준시험안전특론Ⅱ (Advanced Standard Testing and Safety Ⅱ)
모든 산업제품의 체계적 품질관리를 위한 표준의 제정하고 표준에 따른 성능평가를 위한 시험 안정성확보기술에 대한 종합적 전문지식 교육함.
섬유재자원화기술특론 (Advanced Textile Recycling Technology)
섬유 재자원화 기술은 버려지는 폐섬유를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통해 재자원화 시키거나 새로운 제품으로 변환하여 환경 보호와 자원 보존에 기여하는 핵심 기술을 강의함.
바이오융합기술특론Ⅰ(Advanced Bio-Convergence TechnologyⅠ)
바이오융합기술은 21세기 기술 혁신을 주도하며 다양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차세대 성장 동력인 신산업 분야로 바이오플라스틱, 바이오연료, 바이오의약품, 식품, 화장품, 바이오 헬스케어 등 다양한 바이오융합기술 전반에 관한 연구 및 이론교육을 통해 바이오융합 산업의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함.
미세플라스틱특론 (Advanced Microplastics)
우리 삶과 환경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미세플라스틱 문제를 인식하고 대처할수 있는 방법 및 기술에 대해 소개미세플라스틱의 정의, 발생원, 환경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인체 건강 위험, 관리 및 정책 등을 다루며, 미세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탐구함.
환경융합기술특론 (Advanced Environmental Convergence Technology)
환경공학 지식과 기술을 타전공과 융합하여 새로운 시너지효과를 창출하는 첨단 제품기술 예를 바탕으로 학습함.
예비논문지도 (Preliminary Thesis Guidance)
예비연구주제에 대한 실험계획 및 연구결과 등을 지속적으로 토론하고 지도하여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졸업논문주제를 선정하도록 학습함.
졸업논문지도 (Graduation Thesis Guidance)
확정된 졸업논문주제에 대한 연구수행과정과 실험단계별로 결과분석과 고찰을 통해 논문의 수준과 독창성을 향상시키고 실용성 있는 논문을 작성토록 학습함.
자원순환기술특론 Ⅰ (Advanced Resource Circulation Technology Ⅰ)
첨단자원순환기술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통해 개선점의 토론과 제안, 자원순환정책과의 호환성, 실제현장적용성 및 경제성 평가 등을 학습함.
자원순환기술특론 Ⅱ (Advanced Resource Circulation Technology Ⅱ)
첨단자원순환기술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통해 개선점의 토론과 제안, 자원순환정책과의 호환성, 실제현장적용성 및 경제성 평가 등을 학습함.
재제조기술특론 (Advanced Remanufacturing Technology)
단순 물질재활용기술과 병행하여 태양광부품, 베터리부품 등 수요가 많고 폐기물이 대량 발생하는 제품에 사용된 고부가가치 부품의 재활용을 위한 재제조 핵심기술을 학습함.
난연물질기술 (Flame-Resistant Materials)
모든 산업제품 분야에 필수요소인 첨단 난연성 기술을 통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환경친화형 난연성 발현물질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토의 학습함.
전지신소재특론 (Advanced New Battery Materials)
전지의 종류별 특성과 신소재에 따른 성능향상과 안전성 확보기술에 대해 학습함.
표준과기술혁신 (Standards and Technical Innovation)
표준의 특성과 체계를 반영하여 산업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실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토의함.
토양오염정화기술 (Soil Pollution Purification Technology)
토양오염성분특성에 따른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열적 정화기술 및 융합기술에 대해 학습함.
기후대기화학(Climate Atmospheric Chemistry)
대기의 미량기체는 비록 그 농도가 작아도 산성비, 광학스모그, 오존층감소 등의 현상에 직접,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기상의 변화에 끼치는 영향이 큼. 특히 대류권 내 미량 화학성분들의 변화는 지구환경에 매우 중요함. 본 과정에서는 대기를 화학환경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을 기본으로 하며 특히 최근 대기환경영역에서 새로이 주목받고 있는 에어로졸 연구분야를 중점적으로 다루도록 함.
기후대기모델링(Climate Atmosphere Modeling)
기후대기관리에 필요한 기상 및 기후특성을 이해하고, 기후대기모델링 및 해석기법에 대해서 학습함.
폐자원에너지화특론(Advanced Waste Resource Energy)
폐자원의 에너지화 추진정책, 에너지화를 위한 경제조치 및 에너지화 기술사례 등을 다룸.
바이오에너지특론(Advanced Bio-Energy)
바이오에너지를 이용한 설비 시스템의 분석과 설계기술을 습득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
온실가스사전저감기술(GHG Pre-reduce Technology)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수증기, 이산화탄소, 메탄과 산화질소, 염화불화탄소(프레온 : CFC : chloro fluoro carbon) 등의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의 사전저감기술에 관하여 실례를 중심으로 총론적으로 학습함.
고효율건조공정특론(Advanced Drying Process)
상,하수도시설에서의 탈수 및 건조신공정을 설계하고 환경친화형 고효율 물리적, 화학적탈수기술의 적용실례를 분석하여 효율적 에너지절감방안을 학습함.
에너지절감청정기술(Cleaner Production for Energy Saving)
각종 제품생산시설에서 원료, 생산공정, 오염물질처리 및 폐기물 재활용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정밀분석하여 에너지저감신공정을 설계하고 학습함.
환경통계학((QC/QA)(Environmenta lstatistics)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과 관련하여 환경, 기상 등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통계지식을 습득시키고 기후변화분야의 적용할 때 자료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자료품질관리 기법이론과 방법론에 대해 강의
온실가스배출검증방법론(Emission verification of GHG)
각 분야에서 배출량으로 산정된 값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른 실험적, 이론적 방법으로 산정량을 확인하고 검증(validation)하는 기법과 그 이론에 대해 강의함.
기후환경측정론(Theory of Climate Environment Measurement)
기후대기환경을 진단하고, 기후변화,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지구환경 및 대기오염물질 조사 연구를 수행한다. 기후변화 감시.예측을 통하여 미래의 기후변화와 대기환경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기질 부문 기후변화 영향을 연구하고 학습한다.
에너지생성저장기술(Energy Havest Storage System Technology)
신재생에너지류의 물리, 화학적에너지 생성메카니즘과 생성효율 향상기술을 검토하고 장기저장성 및 대량축적기술에 대한 최신기술과 실질 응용분야에 관하여 총론적으로 학습함.
온실가스배출저감기술(Green Gas Emission Reduction Technology)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수증기, 이산화탄소, 메탄과 산화질소, 염화불화탄소(프레온 : CFC : chloro fluoro carbon)등의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의 저감기술에 관하여 실례를 중심으로 총론적으로 학습함.
기후환경세미나(Seminar in Climate Environment)
기후환경관리에 관한 최근의 핫이슈를 분석, 검토하고 각자의 연구분야에 대한 진행과 함께 문제점을 토의함.
통합배출량산정론(Theory of Integrated Emission)
온실가스 배출량 및 일반대기오염배출량의 공통점을 분석하여 공통된 활동자료를 이용한 통합배출량산정방법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합니다. 배출량산정에 있어서의 유의사항 및 통합배출량산정을 위한 활동자료의 취합방법 등에 대한 강의가 주를 이루게 됩니다.
온실가스감축정책특론(Advanced Green house Gas Mitigation Policies)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 정책의 하나가 온실가스 감축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정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우리나라에 어떤 정책이 적합한지 분석하고, 그러한 정책의 효과가 어느 정도가 될지 예측한다.
폐수처리공학특론(Advanced Waste Water Treatment)
일반적인 하.폐수의 특징과 반응기의 해석 및 현장에서의 최근 발전 현황에 대하여 집약 해설 및 토의함.
해양과 기후(Oceanand Climate Change)
지구기후를 결정하는 5대 영역(대기권 atmosphere, 해양과 호수 등의 수권 hydrosphere, 빙하로 덮인 빙하권 cryosphere, 지각과 상부 맨틀을 포함한 암석권 lithsphere, 그리고 생물권 biosphere) 중 주로 수권에 대한 이해와 수권이 기후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연구함.
기후변화거버넌스(Climate Change Governance)
기후변화 문제는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이슈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환경사회문제로써 문제의 이해와 해결을 위해서는 구조적인 분석과 지식을 통해 보다 다차원적인 이해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강의는 기후변화의 주요 쟁점을 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지역/국가/국제적 차원에서의 기후변화 정책 프레임(climate policy framework)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학수송모델링(Chemical Transport Modeling)
화학수송모델링의 전반적인 물리화학적 및 수치적매커니즘을 이해하고,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화학수송모델에 관련하여 공부함. 또한 전반적인 매커니즘 이해와 더불어 보다 세부적인 수치해석에 대해 강의함.
연구관리세미나(Seminar for research project management)
관련주제에 관하여 연구발표나 토론을 통해서 공동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상호간의 토론 및 발표를 통하여 의문점을 깊이 있게 추구함으로써 연구자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킴.
배출량모델링(Emission Inventory Modeling)
대기확산모델에서 배출량은 기상, 화학반응과 더불어 중요한 요소로서, 배출량을 정확하게 모델링격자에 입력하는 것이 중요함. 따라서 현재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배출량모델에 대한 개념 및 연구사례를 강의함.
논문작성방법론(Method of Thesis Writing)
논문작성과 연구방법론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학위논문작성 규칙과 연구방법론에 대하여 실제 논문작성을 통하여 숙지함.
통합대기환경관리특론(Special Topics on Integrated Air Quality Management)
기후 및 대기환경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통합배출량을 활용하여 비용 편익분석 등을 통합관리 방법에 대해서 강의함. 특히 선진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주요 배출원을 통합관리하는 정책에 대해서 강의함
기후대기연구1(Reserch for Climate Atmosphere(1))
기후대기 환경관리 전반에 필요한 기술 및 기법에 대해서 발표하고 토론함. GHG의 배출원 조사 및 통제방법, 기후대기 환경관련법, 기후대기 정보기술, 기후대기 확산모델링 방법 등의 일련의 기후대기 환경관리 및 평가에 관련된 주제를 중점적으로 학습함.
기후대기연구2(Reserch for Climate Atmosphere(1))
기후대기 환경관리 전반에 필요한 기술 및 기법에 대해서 발표하고 토론함. GHG의 배출원 조사 및 통제방법, 기후대기 환경관련법, 기후대기 정보기술, 기후대기 확산모델링 방법 등의 일련의 기후대기 환경관리 및 평가에 관련된 주제를 보다 심층적으로 학습함.
도시기후학(Urban climatology)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도시에 나타나는 도시열섬, 대기질 등의 도시 기후특성을 이해하고 규명함.
기후대기모델링사례연구(Example Study of Climate Atmosphere Dispersion Modeling)
비반응성 및 반응성오염물질 및 기후대기의 확산모델링기법을 대기환경관리에 활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강의함. 미국EPA에서 제공하는 최근 모델링기법을 이해하고, 대기관리에 적용시 문제점 등에 대해서 집중 논의함. 미세먼지 및 오존모델링기법과 모델링에 필요한 배출량 및 기상자료작성기법에 대해서도 강의함.
통합배출량모델링특론(Special Topics on Integrated Emission Modeling)
대기오염물질 통합배출량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해하고, 통합배출량 자료를 화학종 분류 및 시공간 분배를 통해서 1시간 배출량 자료를 작성하는 모델링 기법에 대해서 학습함.
역모델링특론(Special Topics on Reverse Modeling)
기후대기 배출량 검증 및 산정을 위한 미국 및 유럽지역 등에서 적용되고 있는 모델링 기법을 조사 및 분석하고, 국내 모델 적용성 검토 및 문제점을 도출하여 한반도/동북아시아 역모델링 기법을 정립하는 과정을 학습함.
폐기물관리시스템특론1(Advanced Waste Management System(1))
자원순환사회 구축을 위한 일반 및 유해폐기물의 통합관리기술에 관한 최근의 국내외 우수논문을 선정하여 연구 주제별 발표와 토론방식을 통해 연구함.
폐기물관리시스템특론2(Advanced Waste Management System(2))
자원순환사회 구축을 위한 일반 및 유해폐기물의 통합관리기술에 관한 최근의 국내외 우수논문을 선정하여 연구 주제별 발표와 토론방식을 통해 연구함.
폐자원에너지시설사례연구(Example Study of Waste Resource Energy Facilities)
폐기물관리 및 에너지화 전문시설로서 폐기물에너지정책지원, 지자체기술 및 설치 등의 사례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사회구축 및 기후변화협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도록 함.
순환형사회시스템론(Special Topics on Recyclien Society System)
현 일방통행형 사회시스템에 대한 문제점을 검토 및 학습하고, 대안으로 제시된 순환형사회시스템의 필요성 및 당위성에 대하 연구 및 논의하며 순환형사회구축을 위한 제도적 기반과 삶의 양식 등의 기본조건을 파악하여 효과적 실현을 위한 방법을 모색함.
온실가스저감LCA(LCA for Green Gas Emission Reduction)
각종주거, 산업, 공용건물의 구성 재료, 에너지의 소비, 오염물질과 폐기물의 발생 등 생산·유통·폐기의 전과정에 걸쳐 온실가스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전오염예방기술에 대하여 학습함.
저탄소냉매대체기술(Alternative Refrigerants Technology for Low Carbon)
냉동/공조설비에서 널리 사용되고 CFC에 비해서는 오존층 붕괴지수가 낮지만 여전히 오존층을 붕괴시킬 가능성이 큰 HCFC22의 대체냉매로 HFC계열냉매인 R32, R125를 포함한 혼합 냉매 및 타대체 친환경냉매에 대하여 학습함.
VOCs저감생산기술(Manufacturing Technologies for Low VOCs)
VOCs류 다량 배출을 야기하는 각종 산업생산현장에서 소재 및 공정개선을 통한 VOCs 배출저감공정 도입현황, 대체소재기술 및 현장실례에 대한 전반적 개선방향을 도출토록 학습함.
수송기계배기가스저감기술(Vehicle Exhaust Gas Reduction Technology)
배출되는 가스의 양이 많은 수송기계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일산화탄소·탄화수소·황산화물·황화수소·질소산화물·암모니아·오존·옥시던트 등 지구온난화, 대기오염 및 인체에도 해로운 성분의 최신 저감기술에 대해 학습함.
자료분석특론(Survey Sampling)
탐색적 자료분석에 필요한 도구로서 S-PLUS류의 객체지향적대화형 통계소프트웨어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그래프를 이용한 자료분석방법과 통계량을 이용한 자료분석방법에 대하여 학습함. S-PLUS에 내장된 자료 및 기존의 잘 알려진 실제 자료를 중심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토록 함.
RS자료분석 및 활용특론(Advanced Remote Sensing Data Application)
공간적 환경현황분석에 효용 가치가 증대되고 있는 RS자료의 처리능력을 학습하고, 특히 전문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보다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현장 학습을 실시하여 RS자료의 활용 능력을 배양시키는데 중점을 두도록 함.
바이오에너지특론(Advanced Bio-Energy)
바이오에너지를 이용한 설비시스템의 분석과 설계기술을 습득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
기후에너지특강(Topics in Climate Change Policies)
21세기 최대의 환경정책 과제 중 하나인 대기층과 기후 체계의 변화에 대처하는 일이며, 인간에 의해 야기된 기후변화야말로 가장 큰 과제임. 기후 및 에너지정책에 있어 세계적으로 선구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연구하여, 기후보호와 환경보호를 지속가능한 개념으로 지향하는 방법을 연구 및 학습함.
기후정책특강(Topics in Climate Change Policies)
기후변화의 발생 원인과 함께 기후변화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에 대해 살펴보도록 함. 또한 기후변화라는 환경문제가 에너지 소비, 경제성장, 사회적 형평성이 연동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의 관점에서 기후변화의 문제를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도록 함. 기후변화의 문제는 국제사회의 협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하며, 국제적으로나 지역적으로 다양한 정책수단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노력과 발생할 수밖에 없는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노력이 필요함. 따라서 현재까지의 국제 기후변화 협상의 과정과 협상결과 채택한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국가들에서 구체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기후변화 정책에 대해 학습함.
CDM과탄소시장특론(Special Topics on The CDM and Carbon Market)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요한 인센티브가 탄소시장을 통한 배출권의 거래임. CDM 사업의 프로젝트 싸이클, 진행상황, 배출권의 가격 등을 살펴보고, 전 세계 배출권시장의 규모와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학습함.
오염토양 및 지하수복원공학특론(Advanced Contaminated Soil and Ground water Remediation Technology)
토양 및 지하수 흐름의 특성, 오염물질의 거동, 오염의 영향 등에 관해 연구하고, 각종 오염복원기술의 원리와 오염토양 및 지하수의 복원사례에 대해 강의함.
환경기상학(Environmental meteorology)
대기환경과 관련된 기온, 강수, 바람 등의 기상변수의 특성과 매일매일 변하는 일기도를 해석하는 방법 등을 살펴보고, 일기특성이나 기상변수가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토의함.
도시기후학(Urban climatology)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도시에 나타나는 도시열섬, 대기질 등의 도시기후특성을 이해하고 규명함.
기후변화원격탐사(Climate Change Remote Sensing)
원격탐사는 대상체와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없이 정보를 획득하는 예술이며 과학이다. 최근 기후변화의 심각성으로 인하여 원격탐사를 이용한 기후변화 모니터링이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원격탐사를 이용하여 기후변화를 해결하고자하는 과학적인 방법에 대해 강의한다.
해양생태학특론 I(Advanced Marine Ecology I)
해양부유생물, 저서생물, 미생물생태계의 종다양성, 서식환경, 생산, 에너지흐름, 먹이사슬, 물질순환 등 생태계구조 및 기능을 강의하고, 생태이론이 생물자원관리, 해역이용협의, 생태조사, 생태독성, 위해성 평가 등에 적용되는 사례를 분석, 검토함.
해양생태학특론 II(Advanced Marine Ecology II)
해양부유생물, 저서생물, 미생물생태계의 종다양성, 서식환경, 생산, 에너지흐름, 먹이사슬, 물질순환 등 생태계구조 및 기능을 강의하고, 생태이론이 생물자원관리, 해역이용협의, 생태조사, 생태독성, 위해성평가 등에 적용되는 사례를 분석, 검토함.
해양생태환경모델링(Marine Ecological Modelling)
해양환경과 해양생태계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역학모델과 통계모델의 기본이론을 강의하고, 생태환경모델이 해양관리에 실제로 응용되는 선진국 사례를 분석, 검토함.
해양생태환경정책특론(Advanced Marine Policy)
해양생태계 및 환경관리를 위한 법률, 제도, 정부조직, 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연구, 토의하고, 이를 통해 과학과 정책이 조화된 과학적 관리방안을 모색함.
환경생물학특론(Environmental Biology)
인간과 생태계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인류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및 반작용에 대해 강의하며, 환경생물학 지식이 해양관리에 실제로 응용되는 국내외 사례를 분석, 검토하여 실무지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함.
해양생태실험디자인(Marine Ecological Experimental Design)
해양생태환경을 연구하기 위해 필요한 야외조사, 실험, 자료처리, 통계분석에 대한 이론을 강의하고, 해양생태환경 연구논문에서 통계분석이 이용되는 사례를 분석, 검토함.
연안해양학특론(Advanced Coastal Oceanigraphy)
연안해양환경의 특수성을 물리, 화학, 지질학적 관점에서 강의한다. 해역이용협의(해양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해양학적 이론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함.
해양정보처리학(Marine Informatics)
해양환경관측망, 해양생태계기본조사, 갯벌기초조사 등 해양법정조사의 목적, 내용, 주요결과를 강의하고,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실제자료를 활용해서 해양생태환경의 시공간 적변동 양상을 실습해봄.
해양생태독성학(Marine Ecotoxicology)
오염물질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 개체, 개체군, 군집 수준에서 독성을 판정하는 이론을 강의하고, 생태독성학이 해양환경관리에 실제로 응용되는 국내외 사례를 분석, 검토함.
해양생물학특론(Advanced Marine Biology)
해양부유생물, 저서생물, 유영생물의 분류, 진화, 생리, 생태를 강의하며, 해양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의 종다양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함.
해양생태환경세미나 I(Marine Ecology Seminar I)
해양생태학분야의 최근이슈를 분석, 검토하고 각 자연구분야에 대한 진행과 함께 문제점을 토의함.
해양생태환경세미나 II(Marine Ecology Seminar II)
해양생태학분야의 최근이슈를 분석, 검토하고 각 자연구분야에 대한 진행과 함께 문제점을 토의함.
① 석사과정 / 석·박사통합과정
대기확산이론 (Air dispersion theory)
기상 및 대기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미세먼지 생성 및 확산 소멸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미세먼지 저감 정책의 프로세스를 이해할수 있다.
대기확산모델링 이론 (Atmospheric dispersion modeling)
대기확산 현상을 해석하기 위한 modeling 기법을 이해한다.
Cloud 활용 Big data 관리론(Big data management theory using cloud)
환경 Big data를 이해하고 AWS를 이용한 Big data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AI기반 미세먼지 예측 및 관리(AI based PM forecast and management)
인공지능에 대한 수학적 매커니즘을 이해하고 , RNN/CNN/DNN 알고리즘 이해하여 대기오염예보모델링을 실습한다.
에어로졸 공학 (Aerosol Technology)
대기 중 고체상 또는 액체상으로 존재하는 입자상오염물질(Particulate Matter)의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입자의 거동 및 측정방법, 다양한 에어로졸의 발생원 및 상세특성 해석 하고 에어로졸 관련 최신연구 동향 파악 등에 중점을 두어 학습한다.
대기환경측정론 (Measurement of air pollution)
대기환경을 진단하고,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지구환경 및 대기오염물질 조사 연구를 수행하여 대기오염 변화 감시.예측을 통하여 미래의 대기환경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기질 부문 대기오염 영향을 연구하고 학습
미세먼지 성분 측정 및 분석 (Special Discussion on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M Components)
기후대기환경을 진단하고, 기후변화,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지구환경 및 대기오염물질 조사 연구를 수행하여 기후변화 감시.예측을 통하여 미래의 기후변화와 대기환경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기질 부문 기후변화 영향을 연구하고 학습한다.
Smart 측정 및 분석 실습 (Practice of smart PM measurement)
4차 산업혁명시대에 발맞춘 센서 및 ICT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기술 실습, 센서를 이용한 측정 회사 및 현장 실무 견학/실습한다.
비용편익 분석실습 (Practice Analysis of Benefit & Cost)
비용편익분석은 선택된 대안에 대해서 들어가는 비용과 이 대안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편익을 분석하고,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는 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① 모든 정책이나 사업은 비용을 요구하며, ② 모든 정책이나 사업은 편익을 창출하며, ③ 편익과 비용이 정확히 측정된다면 이들을 비교하여 어떤 정책이나 사업이 이익인지 여부를 평가하거나 정책이나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명사 특강 세미나(Special Lecture Seminar)
미세먼지 관리분야 명사 특강을 통해 주요 이슈에 대해 학습한다.
산학연관 연계 공동 프로젝트 I(Academy and Industry Cooperative Project I)
산학 연계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연구능력을 향상한다.
파이썬 기반 환경 통계분석(Analysis of environmental statistics using Python program)
대기오염물질의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툴에 대해 배우고 활용할 수 있도록한다.
미세먼지정책론(PM policy management)
미세먼지 정책 및 지속가능한 미세먼지 정책에 대해 학습한다.
사례 연구를 통한 논문 작성 방법론(Presentation of thesis writing methodology through case studies)
학술 및 학위 논문에 대한 정의와 요건, 논문의 종류, 논문의 구성, 논문작성 시 주제선정 방법, 다양한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국내외 논문 과 핵심 포인트 의 각 부분을 배워 연습 전체적인 형식을 하는 것
통합폐기물관리세미나(Seminar in Integrated Waste Management)
자원순환사회 구축을 위한 일반 및 유해폐기물의 통합관리기술에 관한 최근의 국내외 우수논문을 선정하여 연구 주제별 발표와 토론방식을 통해 연구한다.
폐기물재자원화세미나(Seminar in solid Waste Recycling Technology)
각종 폐기물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처리하는 처리기술을 비롯한 자원화 및 처리시설설계상 미세먼지 저감에 대해 검토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제반 신기술 등을 최근의 자료와 논문을 통해 연구한다.
환경위해성평가특론(Advanced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위해성평가이론. 미세먼지 등 취급화학물질 환경배출로 인한 근로자, 지역주민과 환경에 대한 위해성 평가방법. 소비자제품의 위해성평가 방법. 위해점감을 위한 관리대책에 대해 학습한다.
미세플라스틱오염특론(Special Topics of microplastic pollution)
각종 포장용기나 타이어분진, 의류 등에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은 여러 경로를 통해 인간의 몸으로 흡수되어 인체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져 전세계적으로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해양오염을 포함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미래 전망, 그리고 문제해결를 위한 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대기관리 전문가 강연(Expert Lectures on Air Management)
대기오염물질 특히 미세먼지에 관한 실무에 종사하는 전문가 또는 연구자를 초청하여 해당 분야에 대해 깊이 있고 다양하게 접해볼수 있도록한다.
기초논문연구(thesis research)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기초 연구 지도.
① 박사과정 / 석·박사통합과정
대기확산특론(Advanced Air dispersion theory)
대기오염물질의 이동을 물리적인 확산현상을 분석함.
화학수송모델링을 활용한 미세먼지 예측분석(Forecasting analysis of PM using chemical transport modeling)
화학수송모델링 시스템 구조 및 각 기능에 대해 학습, 대표 화학수송모델인 CMAQ 모델을 학습, 대표 화학수송모델인 CMAQ 활용 사례에 대해 학습
Cloud 활용 Big data 관리특론(Advanced Big data management theory using cloud)
환경 Big data의 이해 및 AWS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
AI 대기오염예보 모델링(AI Air Pollution Forecast Modeling)
AI를 이용한 다양한 환경자료를 이용한 예보모델 개발
미세먼지 SMART 측정기술(Smart measurement technologies related to PM)
4차 산업혁명시대에 발맞춘 센서 및 ICT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기술 소개 및 센서를 이용한 측정에서 측정신뢰도를 향상시시키 위한 제반 기술 이해
미세먼지 성분 고분해능 측정 및 분석 특론(High resolution PM measurement technologies)
미세먼지 성분 측정 최신 연구동향 파악을 위해 고분해능 측정장비 소개. 및 다양한 고분해능 미세먼지 성분 측정장비의 측정원리, 측정방법, 데이터 해석
대기오염방지기술특론 (Mitigation and control of air pollution )
미세먼지 배출 저감을 위한 다양한 미세먼지 저감기술 리뷰, 미세먼지 저감기술의 국내 및 세계적 동향파악 및 효율적 제거방법의 핵심원리 이해
미세먼지 측정분석 현장 실습(Practice of mesurement of PM physicochemical properties)
미세먼지의 물리화학적 조성을 측정/평가하는 일반적인 측정 및 실험방법 이해, 고분해능 실시간 측정기기 포함 관련 측정기기의 측정 및 분석원리 이해.
명사특강세미나 Ⅰ(Special Lecture Seminar I)
모델링 및 Big Data 분야 전문가 강의를 수강하며, 실무 경험을 습득
명사특강세미나 Ⅱ(Special Lecture Seminar II)
측정 및 분석 분야 전문가 강의를 수강하며, 실무 경험을 습득
비용편익 분석특론(Advanced Practice Analysis of Benefit & Cost)
비용편익분석은 선택된 대안에 대해서 들어가는 비용과 이 대안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편익을 분석하고,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는 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공함. 미세먼지 정책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방법을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미세먼지 정책 수립 및 평가시 비용편익 분석을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함
산학연관연계공동프로젝트 Ⅱ(Academy and Industry Cooperative Project II)
산학 연계를 통해 연구능력 향상
기상모델링 특론
기상모델링(WRF)에 대한 이해 및 실습
파이썬 기반 환경 통계분석 특론 (Advanced analysis of environmental statistics using Python program)
Data를 분석하기 위해 자료처리 하는 방법, 과정 등에 대해 학습한다. Data를 수집하는 단계에서부터 분석후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까지 자료에 대한 수집, 처리, 결과보고까지의 전과정을 학습한다.
대기오염물질 위해성 평가(Hazard Assessment of Air Pollutant)
의료분야에서 대기오염물질 위해성 평가 방법론
대기질 관리 시스템 설계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Design)
측정, 분석, 모델링 및 정책을 통합한 대기질 관리 시스템 설계 방법론 및 정책 활용 사례 강의 미세먼지정책특론, 미세먼지 정책의 정량적 평가방안 미세먼지 정책평가 환류체계 강의
논문 리뷰 세미나Ⅰ (Paper Review Seminar I)
측정/분석 분야 논문 리뷰세미나
논문 리뷰 세미나Ⅱ(Paper Review Seminar II)
모델링/정책 분야 논문 리뷰 세미나
Cloud 시스템 활용 사례연구(Cloud system use case study)
Cloud 시스템 활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Cloud OS 중 AWS에 대해 상세 이해
심화논문연구(Dissertation research)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심화 연구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