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대학원 융합교육학과는 교육학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교수함으로써 인간과 교육에 대한 깊은 이해와 건전한 통찰력 및 교육학에 대한 전문지식과 연구 능력을 갖춘 교육전문가의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예술과 교육의 통합된 시각을 바탕으로 풍부한 예술적 감수성과 창조성을 지진 예술교육 전문가와 연구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계열 | 학과 | 전공 | 학위 | 비 고 |
---|---|---|---|---|
인문사회 | 융합교육학과 | 고등교육전공 | 교육학박사 | |
예술교육전공 | ||||
교육심리전공 |
- 공통이수과목
과목명 | 비 고 |
---|---|
교육의 질적 연구법(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
|
교육연구방법(Research Methodology of Education) |
|
교육과정특강(Advanced Seminar on Curriculum) |
|
교수학습 이론(Theories of Instruction and Learning) |
|
교육사연구(Seminars in History of Education) |
|
한국교육발전론(Educational Development in Korea) |
|
개인연구지도 I(Directed Research I) |
|
한국언어문화교육I(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 |
|
한국언어문화교육II(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I) |
|
비교교육론(Seminars in Comparative Education) |
|
개인연구지도 II(Directed Research II) |
|
한국언어문화교육(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
|
개인연구지도 III(Directed Research III) |
|
통계적 방법(Statistical Methods) |
|
한국문화와 교육연구(Seminars in Korean Culture and Education) |
|
상담심리연구(Seminars in Counseling Psychology) |
- 고등교육전공
과목명 | 비 고 |
---|---|
고등교육연구(Seminars in Higher Education) |
|
교원전문성개발(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
|
비교고등교육론(Comparative Higher Education Theory) |
|
교육조직의 리더십(Leadership in Educational Organization) |
|
학생생활지도 연구(Seminars in Student Guidance Service) |
|
교원발전이론연구(Research in Teacher Development Theory) |
- 예술교육전공
과목명 | 비 고 |
---|---|
예술학개론(Introduction to Art Studies) |
|
예술교육연구방법(Research Methods of Art Education ) |
|
세계예술사(History of World Art) |
|
예술교육현장의 이해(Understanding of Art Education in the Field) |
- 교육심리학전공
과목명 | 비 고 |
---|---|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Psychological Foundation of Education) |
|
교육심리학연구(Seminars in Educational Psychology) |
|
학습심리 연구(Seminars in Human Learning) |
|
교육측정·평가이론(Seminars in Educa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
|
교육심리측정 연구(Seminars in Psychometrics) |
교수명 | 전공 | 연구실 | 연락처 |
---|---|---|---|
이 영 |
국어교육 |
아리비전센터 710호 | liying@anyang.ac.kr |
류 군 | 기술교육 | 수봉관 1005호 | juki618@anyang.ac.kr |
우 림 | 교육심리 | 수봉관 1205호 | woorim@anyang.ac.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