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안내
교과목개요

교과목 개요

전공실기Ⅰ (Private Lesson Ⅰ)

1주 2시간 지도교수와의 레슨을 통하여 각자의 전공을 연구함과 동시에 졸업연주회 또는 논문을 위한 보다 깊은 연구와 집중적인 연마가 수행된다. 반주 전공은 기악, 성악 반주에 대한 테크닉을 학습한다.

전공실기Ⅱ (Private Lesson Ⅱ)

1주 2시간 지도교수와의 레슨을 통하여 각자의 전공을 연구함과 동시에 졸업연주회 또는 논문을 위한 보다 깊은 연구와 집중적인 연마가 수행된다. 반주 전공은 기악, 성악 반주에 대한 테크닉을 학습한다.

전공실기Ⅲ (Private Lesson Ⅲ)

1주 2시간 지도교수와의 레슨을 통하여 각자의 전공을 연구함과 동시에 졸업연주회 또는 논문을 위한 보다 깊은 연구와 집중적인 연마가 수행된다. 반주 전공은 기악, 성악 반주에 대한 테크닉을 학습한다.

전공실기Ⅳ (Private Lesson Ⅳ)

1주 2시간 지도교수와의 레슨을 통하여 각자의 전공을 연구함과 동시에 졸업연주회 또는 논문을 위한 보다 깊은 연구와 집중적인 연마가 수행된다. 반주 전공은 기악, 성악 반주에 대한 테크닉을 학습한다.

음악학세미나 (Seminar in Musicology)

음악 역사에 나타난 음악 개념, 철학, 비평 등을 시대별로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음악사세미나 (Seminar in Music History)

주제별, 시대별로 타픽을 정하여 그 시대의 음악 역사, 문헌, 양식 및 형식을 연구한다.

음악사세미나Ⅱ (Seminar in Music HistoryⅡ)

주제별, 시대별로 타픽을 정하여 그 시대의 음악 역사, 문헌, 양식 및 형식을 연구한다.

음악사세미나Ⅲ (Seminar in Music HistoryⅢ)

주제별, 시대별로 타픽을 정하여 그 시대의 음악 역사, 문헌, 양식 및 형식을 연구한다.

이론세미나 (Seminar in Theory & Analysis)

조성과 무조성 음악에 중요한 이론을 바탕으로 형식들을 작품에서 분석하여 연구한다.

이론세미나Ⅱ (Seminar in Theory & AnalysisⅡ)

조성과 무조성 음악에 중요한 이론을 바탕으로 형식들을 작품에서 분석하여 연구한다.

이론세미나Ⅲ (Seminar in Theory & AnalysisⅢ)

조성과 무조성 음악에 중요한 이론을 바탕으로 형식들을 작품에서 분석하여 연구한다.

피아노 문헌 세미나 (Seminar in Piano Literature)

피아노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시대별 작곡가별로 연구한다.

피아노연주법세미나 (Seminar in Orchestral Music Literture)

피아노 작곡가의 대표적인 피아노곡들을 선정하여 그 곡에 다른 문헌, 분석, 연주법 등을 연구, 발표하여 실제 연주를 통하여 확인한다.

반주문헌 세미나Ⅰ(Seminar in Piano Accompanying LiteratureⅠ)

성악, 기악, 발레반주에 대한 문헌연구 및 연주법에 대한 연구를 한다.

반주문헌 세미나Ⅱ (Seminar in Piano Accompanying LiteratureⅡ)

성악, 기악, 발레반주에 대한 문헌연구 및 연주법에 대한 연구를 한다.

반주문헌 세미나Ⅲ ( (Seminar in Piano Accompanying LiteratureⅢ)

성악, 기악, 발레반주에 대한 문헌연구 및 연주법에 대한 연구를 한다.

반주실습 Ⅰ(Studio AccompanyingⅠ)

반주 실습시간으로써 본교 학부 또는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연주 전공자들의 반주를 1주일에 2시간 이상을 필수로 한다. 학기 초에 전공실기 파트와 대상을 미리 정하여 지도교수님(연주자들의)과 상의하여 지속적으로 레슨에 참여하며 지도를 받도록 한다. 또한 합창반주, 오페라 반주, 앙상블 반주 등 통하여 실질 경험을 쌓도록 한다. 반주실기실습은 학부 수업을 수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학기말 전공실기 당일 <반주실기표>를 제출한다. (P/F 과목)

반주실습 Ⅱ (Studio Accompanying Ⅱ)

반주 실습시간으로써 본교 학부 또는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연주 전공자들의 반주를 1주일에 2시간 이상을 필수로 한다. 학기 초에 전공실기 파트와 대상을 미리 정하여 지도교수님(연주자들의)과 상의하여 지속적으로 레슨에 참여하며 지도를 받도록 한다. 또한 합창반주, 오페라 반주, 앙상블 반주 등 통하여 실질 경험을 쌓도록 한다. 반주실기실습은 학부 수업을 수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학기말 전공실기 당일 <반주실기표>를 제출한다. (P/F 과목)

반주실기실습 Ⅲ (Studio Accompanying Ⅲ)

반주 실습시간으로써 본교 학부 또는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연주 전공자들의 반주를 1주일에 2시간 이상을 필수로 한다. 학기 초에 전공실기 파트와 대상을 미리 정하여 지도교수님(연주자들의)과 상의하여 지속적으로 레슨에 참여하며 지도를 받도록 한다. 또한 합창반주, 오페라 반주, 앙상블 반주 등 통하여 실질 경험을 쌓도록 한다. 반주실기실습은 학부 수업을 수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학기말 전공실기 당일 <반주실기표>를 제출한다. (P/F 과목)

반주실기실습 Ⅳ (Studio Accompanying Ⅳ)

반주 실습시간으로써 본교 학부 또는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연주 전공자들의 반주를 1주일에 2시간 이상을 필수로 한다. 학기 초에 전공실기 파트와 대상을 미리 정하여 지도교수님(연주자들의)과 상의하여 지속적으로 레슨에 참여하며 지도를 받도록 한다. 또한 합창반주, 오페라 반주, 앙상블 반주 등 통하여 실질 경험을 쌓도록 한다. 반주실기실습은 학부 수업을 수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학기말 전공실기 당일 <반주실기표>를 제출한다. (P/F 과목)

딕션 Ⅰ (Diction Ⅰ)

성악반주를 하기 위한 기본적인 수업으로써 이태리어, 독일어, 불어, 영어의 딕션을 수업을 통하여 언어의 학습을 익힌다. 딕션 수업은 학부의 딕션 수업을 수강한다. 1년에 최소한 한 과목은 수강하여야 한다. 졸업 때까지 2과목 딕션 수업을 수강해야 한다. 학기말에 <수강인정서>를 제출한다. (P/F 과목)

딕션 Ⅱ (Diction Ⅱ)

성악반주를 하기 위한 기본적인 수업으로써 이태리어, 독일어, 불어, 영어의 딕션을 수업을 통하여 언어의 학습을 익힌다. 딕션 수업은 학부의 딕션 수업을 수강한다. 1년에 최소한 한 과목은 수강하여야 한다. 졸업 때까지 2과목 딕션 수업을 수강해야 한다. 학기말에 <수강인정서>를 제출한다. (P/F 과목)

딕션 Ⅲ (Diction Ⅲ)

성악반주를 하기 위한 기본적인 수업으로써 이태리어, 독일어, 불어, 영어의 딕션을 수업을 통하여 언어의 학습을 익힌다. 딕션 수업은 학부의 딕션 수업을 수강한다. 1년에 최소한 한 과목은 수강하여야 한다. 졸업 때까지 2과목 딕션 수업을 수강해야 한다. 학기말에 <수강인정서>를 제출한다. (P/F 과목)

딕션 Ⅳ (Diction Ⅳ)

성악반주를 하기 위한 기본적인 수업으로써 이태리어, 독일어, 불어, 영어의 딕션을 수업을 통하여 언어의 학습을 익힌다. 딕션 수업은 학부의 딕션 수업을 수강한다. 1년에 최소한 한 과목은 수강하여야 한다. 졸업 때까지 2과목 딕션 수업을 수강해야 한다. 학기말에 <수강인정서>를 제출한다. (P/F 과목)

성악문헌 세미나 (Seminar in Vocal Literature)

성악곡들을 실제연주 및 음반을 통하여 역사적으로 연구하고 분석, 토론한다.

성악 연주법 세미나 (Seminar in Vocal Performance)

시대별 독창자, 작곡가를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오페라 문헌 (Opera Literature)

음악사에 등장하는 주요 작곡가를 시대별로 선별하여 오페라의 역사적 배경, 음악적 의미 또한 작곡가에 대한 연구와 주요 작품들에 대하여 연구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오페라 가수로서의 자세 및 준비되어야 할 것들에 대하여 연구 지도한다.

오페라 문헌 세미나Ⅰ(Seminar in Opera LiteratureⅠ)

음악사에 등장하는 주요 작곡가를 시대별로 선별하여 오페라의 역사적 배경, 음악적 의미 또한 작곡가에 대한 연구와 주요 작품들에 대하여 연구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오페라 가수로서의 자세 및 준비되어야 할 것들에 대하여 연구 지도한다.

오페라 문헌 세미나Ⅱ(Seminar in Opera LiteratureⅡ)

음악사에 등장하는 주요 작곡가를 시대별로 선별하여 오페라의 역사적 배경, 음악적 의미 또한 작곡가에 대한 연구와 주요 작품들에 대하여 연구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오페라 가수로서의 자세 및 준비되어야 할 것들에 대하여 연구 지도한다.

오르간문헌 세미나 (Seminar in Organ Literature)

14세기부터 20세기에 이르는 오르간 음악들을 실제연주 및 음반을 통하여 역사적으로 연구하고 분석, 토론한다.

오르간연주법 세미나 (Seminar in Organ Performance)

오르간 작곡가의 대표적인 피아노곡들을 선정하여 그 곡에 따른 문헌, 분석, 연주법 등을 연구, 발표하여 실제 연주를 통하여 확인한다.

관현악 문헌 (Seminar in Orchestral Music Literature)

초기의 반주 기능으로서의 관현악과 서곡의 성립과정을 비롯하여 하이든, 모차르트에 의한 교향곡 발전과정과 베토벤, 슈베르트, 브람스, 브르크너, 말러등에 이르는 대규모 편성의 관현악곡 전반에 걸친 음악사적 발전과정을 연구한다.

총보독법 (Score Reading)

고악보, 2성부, 3성부, 4성부, 8성부의 악곡 및 그 이상편성의 악보를 이론적 분석과 함께 피아노에서 읽도록 훈련한다.

교회음악이론세미나 (Seminar in Church Music Theory)

교회음악에서 다루이지는 음악을 분석 연구한다.

찬송가학 세미나 (Seminar in Hymnology)

교회사와 찬송가와의 상호관계를 연구한다.

개신교 교회음악 연구 (Seminar in Protestant Church Music)

개신교 음악사상 나타난 역사적 사건을 토픽으로 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졸업연주 (Recital)

지도교수와의 개인 지도를 통하여 전공 분야의 작품을 깊이 연구하고, 고도의 연주기술과 해석법을 연구하여 발표한다. 졸업연주는 2회 연주하며, 각 독창(주)회마다 오디션을 통과해야 하며, 레파토리구성은 각 연주회마다 완전히 달라야 한다. 또한 두번재 연주회는 첫 연주회로부터 6개월 이후에 해야 한다. 첫 번째 연주회는 6학점 이상 정규등록하고 이수한 자가 연주할 수 있다. 반주전공은 기악 또는 성악 반주로 연주회를 한다.

논문 (Thesis)

지도교수와의 개인 지도를 통하여 전공 분야의 작품을 깊이 연구하고, 고도의 연주 기술과 해석법을 연구한다. 반주전공은 반주에 대한 주제를 쓰도록 한다. 피아노 전공자의 논문 주제들과는 차별화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