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과목명(영문) | 교과목 해설 |
---|---|---|
1 | 한국어문법론(Theories of Korean grammar) | 예비 한국어교원으로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한국어문법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어 문법 지식과 소양을 갖춘다. |
2 | 한국어화용론(Korean Pragmatics) |
언어 사용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한국어 의사소통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사용 양상과 규칙을 관찰하고 분석한다. |
3 | (이주민을위한)한국어교육론(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s) | 한국어교육학과 한국어교육 현장의 전반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국내 이주민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실제를 파악한다. |
4 |
한국어교육학개론(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
KSL과 KFL의 공통점과 차이를 비롯하여 한국어교육의 목표, 대상, 내용, 방법 등을 학습한다. |
5 | 한국어어휘문법교육론(Seminar on Teaching of Korean Vocabulary Grammar) | 한국어 어휘와 문법 교육의 원리를 이해하고 한국어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어휘문법 교수 내용과 방법을 익힌다. 이를 통해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어휘문법 교수 역량을 기른다. |
6 | 한국어기능교육론(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 실제 한국어 의사소통에서 활용할 수 있는 언어기능을 표현 영역과 이해 영역으로 구분하여 그 원리를 분석하고, 한국어 수업에 적용 가능한 활동들을 알아본다. 각 기능과 요소들을 연계하여 한국어 수업을 효과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하는 역량을 높인다. |
7 | 한국어교재론(Seminar on Korean Textbook Development) | 한국어교재의 개념과 기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수 현장에 맞는 교재 탐색, 교재 선별, 교재 분석, 교재 활용, 교재 개발 능력을 함양한다. |
8 | 한국어평가론(Seminar on Testing Korean Proficiency as a Foreign Language) | 언어 능력 평가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국어 이해 영역과 표현 영역에서 신뢰도, 타당도 높은 평가 역량을 기른다. |
9 | 다매체기반한국어교수법(Multimedia approach in the teaching Methodology of Korean) | 한국어 수업에서 활용되는 다매체기반교육의 경향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활용 가능한 최신 매체 자료를 탐색하고 적용해 본다. |
10 |
다문화사회교수방법론(Teaching methodology of multicultural society) |
다변화되는 교수 학습 환경에 부합하는 효율적인 다문화교육 방법을 이해하고 실제에 적용해 본다. |
11 | 한국어교육세미나(Semin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한국어교육학 분야의 주요 쟁점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대상, 범위,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수 이론과 실제의 접점을 모색하여 한국어 교수 현장 및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 |
12 | 한국어교육실습(Practicum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 예비 한국어교원이 한국어교육 현장에 익숙해지는 기회를 통해 한국어 교수에 대한 실제적인 경험을 축적하고 한국어 교사로서의 역량을 제고한다. |
13 | 이민정책론(Introduction to Immigration policy) | 한국의 전반적인 이민 현황과 정책을 살펴보고 재한 외국인, 결혼이민자, 탈북자 등 대상별 이민자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향후 이민 정책과 사회통합의 방향과 과제를 모색한다. |
14 | 지역사회와사회통합(Community and Social Integration) |
이민자 사회통합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하는 사회통합정책의 관점과 전략을 학습한다. |
15 | 이민・다문화 현장실습(Fieldwork on Migration and Multiculture) | 현장 경험을 통해 이민ㆍ다문화 정책현장에서의 다문화사회 전문가 역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민자 대상 교수법, 상담기법 등을 실습한다. |
16 | 석사논문연구(Master's Thesis Seminar) |
한국어교육과 다문화교육 분야의 주요 쟁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어다문화 교수 이론과 실제의 접점을 모색하여 현장 및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