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안내
교과목개요

과목명 및 교과목 개요

과목명 및 교과목 해설 안내 표
번호 과목명(영문) 교과목 해설
1 한국어문법론(Theories of Korean grammar) 예비 한국어교원으로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한국어문법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어 문법 지식과 소양을 갖춘다.
2 한국어화용론(Korean Pragmatics)

언어 사용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한국어 의사소통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사용 양상과 규칙을 관찰하고 분석한다.

3 (이주민을위한)한국어교육론(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s) 한국어교육학과 한국어교육 현장의 전반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국내 이주민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실제를 파악한다.
4

한국어교육학개론(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KSLKFL의 공통점과 차이를 비롯하여 한국어교육의 목표대상내용방법 등을 학습한다.

5 한국어어휘문법교육론(Seminar on Teaching of Korean Vocabulary Grammar) 한국어 어휘와 문법 교육의 원리를 이해하고 한국어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어휘문법 교수 내용과 방법을 익힌다. 이를 통해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어휘문법 교수 역량을 기른다.
6 한국어기능교육론(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실제 한국어 의사소통에서 활용할 수 있는 언어기능을 표현 영역과 이해 영역으로 구분하여 그 원리를 분석하고, 한국어 수업에 적용 가능한 활동들을 알아본다. 각 기능과 요소들을 연계하여 한국어 수업을 효과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하는 역량을 높인다.
7 한국어교재론(Seminar on Korean Textbook Development) 한국어교재의 개념과 기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수 현장에 맞는 교재 탐색, 교재 선별, 교재 분석, 교재 활용, 교재 개발 능력을 함양한다.
8 한국어평가론(Seminar on Testing Korean Proficiency as a Foreign Language) 언어 능력 평가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국어 이해 영역과 표현 영역에서 신뢰도, 타당도 높은 평가 역량을 기른다.
9 다매체기반한국어교수법(Multimedia approach in the teaching Methodology of Korean) 한국어 수업에서 활용되는 다매체기반교육의 경향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활용 가능한 최신 매체 자료를 탐색하고 적용해 본다.
10

다문화사회교수방법론(Teaching methodology of multicultural society)

다변화되는 교수 학습 환경에 부합하는 효율적인 다문화교육 방법을 이해하고 실제에 적용해 본다

11 한국어교육세미나(Semin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어교육학 분야의 주요 쟁점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대상, 범위,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수 이론과 실제의 접점을 모색하여 한국어 교수 현장 및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
12 한국어교육실습(Practicum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예비 한국어교원이 한국어교육 현장에 익숙해지는 기회를 통해 한국어 교수에 대한 실제적인 경험을 축적하고 한국어 교사로서의 역량을 제고한다.
13 이민정책론(Introduction to Immigration policy) 한국의 전반적인 이민 현황과 정책을 살펴보고 재한 외국인, 결혼이민자, 탈북자 등 대상별 이민자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향후 이민 정책과 사회통합의 방향과 과제를 모색한다.
14 지역사회와사회통합(Community and Social Integration)

이민자 사회통합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하는 사회통합정책의 관점과 전략을 학습한다. 

15 이민・다문화 현장실습(Fieldwork on Migration and Multiculture) 현장 경험을 통해 이민ㆍ다문화 정책현장에서의 다문화사회 전문가 역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민자 대상 교수법, 상담기법 등을 실습한다.
16 석사논문연구(Master's Thesis Seminar)

한국어교육과 다문화교육 분야의 주요 쟁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어다문화 교수 이론과 실제의 접점을 모색하여 현장 및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