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론 (Theory of Art)
예술의 정의, 예술 작품의 해석과 비평, 예술과 사회 등에 관한 제반이론을 연구한다.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제(諸) 예술론들을 고찰하고 유명한 이론들의 장단점을 살펴봄으로써 예술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세계예술사특강 (Seminars in History of World Arts)
동양, 서양 예술의 이론과 실재를 문헌과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예술작품을 조사하고, 그 역사적 발전을 추적하는 학문으로 회화, 조각, 건축, 공예 등의 작품의 역사와 작가의 전기, 기법과 표현내용의 연구 등도 포함된다.
예술비평이론특강 (Theory of Art Criticism)
비평의 방법이나 태도는 독자적인 대상과 방법을 가지고 독특한 평론(에세이)으로서 인정받게 되므로 평자의 세계관, 미술관에 따라 달라짐을 인식시킨다. 특히 현대미술의 비평에서는 근대 미술사의 연구가 비평의 근간이 됨을 이해시킨다.
예술사상연습(Artistic Thought Practice)
동양예술사상의 기반을 이루는 중국의 대표적인 화론서를 텍스트로 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특히 宗炳의 "畵山水序"를 비롯하여, 수묵화의 발생문제, 蘇東坡 및 董基昌의 문인화론, 남북종론 등이 주요한 주제이다.
한국미학예술학 (Korean Aesthetics and Arts)
한국의 미학과 예술학에 관련된 원전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이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측면을 살펴본다. 조선시대, 근대, 현대의 미학 예술학에 대한 이해와 함께 그러한 사상관념이 형성하게 된 배경을 사회적, 문화적인 시각에서 고찰한다.
예술연구방법론 (Artistic Research Methods)
예술 분야의 학문적 체계와 연구문제의 범위를 습득하고 연구디자인과 자료수집 및 분석기법 등의 다양한 제반 연구방법들을 비교·토의한다.
예술철학이해 (Philosophy of Art)
예술의 본질 또는 현상에 대해서 그 원리를 고찰하고 예술에 관한 근본 원리를 연구하는 수업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예술 작품은 어떻게 규정되며, 그것을 해석하는 방법과 논리는 어떻게 설정되는가, 예술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며 그것의 기능과 가치는 어디서 찾을 것인가 등이 있다.
시각예술(Visual Arts)
20세기 후반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적 핵심과 주요 현상, ‘문화다원성’ ‘탈중심’ ‘해체론’등에 대한 미힉과 미술사적 주제, 주요경향에 대하여 연구한다.
예술법과 저작권(Art Law and Copyright)
예술창작, 미술분야와 관련된 제반 법령, 저작권, 추급권, 예술가, 학자의 권리, 공연, 문학 등 예술 전반의 법에 대한 연구와 실제 사례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통하여 진정한 예술의 권리와 향유, 유통에 대한 개념을 체계화한다.
예술작품분석연구 (Analysis of Art Works )
이슈를 이루고 있는 특정한 작가와 작품들을 선정하여 작품의 사상, 조형적 의미, 기법, 경향, 영향관계, 미술사적 의미와 평가 등을 연구하여 심도 있는 작품분석과정을 연구한다.
조형예술이론연구 (Theory of Plastic Arts)
건축, 조각, 회화, 공예란 시각예술의 네 장르가 안고 있는 독특한 성격 및 각 장르간의 상관관계, 예술작품의 사회적 기능과 의의, 예술과 비예술간의 구별문제, 20세기 미술의 위기의식, 앞으로의 과제 등에 대한 윤곽을 잡아본다.
한국미술특강 (Seminar on Korean Art)
야나기 무네요시, 세끼노 등 일본학자들의 한국 미술관을 비롯하여, 맥퀸, 제켈, 괴퍼 등 구미학자들의 한국미술관, 그리고 고유섭, 최순우, 김원룡 등 우리나라 학자들의 한국미술관을 검토해봄으로써 한국미술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한국미술사에 있어서 "불교미술"은 주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불교미술의 원류 및 그 이론적, 도상적 유형, 사상사적 배경 들을 기반으로 해서 삼국시대의 불교조각, 통일 신라시대의 석굴암조각, 고려시대의 불화 및 불상조각, 조선조의 탱화, 벽화 등에 대해 고찰을 한다.
현대회화론 (Theory of Contemporary Painting)
19세기 후엽에 일어난 현대 회화의 역사적 배경, 정신적 상황 등을 초현실주의, 추상표현주의, 전후 유럽의 회화, 팝아트, 유럽의 신사실주의, 1960년대의 추상으로 새로운 구성주의 미니멀리즘, 1970년대의 탈 미니멀아트, 다원주의, 포스트모더니즘 순으로 고찰한다. 작가연구를 통하여 비평적 기능을 높이고 현대회화의 방향을 조망하고, 한국 현대 미술의 상황을 파악한다.
동양회화사특론 (History of Oriental Arts)
동양 미술의 흐름을 거시적으로 개관하여 인간 미술의 특성을 역사적인 시각에서 이해하고, 지리적․역사적으로 우리와 관계를 지닌 중국, 인도 등의 아시아 미술이 어떻게 형성, 발전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는가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각국이 나름대로의 특수성을 지니고 고유한 미술을 형성시켜 왔음은 물론이지만 대체적으로 중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므로 중국 미술과 인도 미술의 흐름을 개괄적으로 정리하고 그들 사이의 특징을 비교하여 각 미술 문화 발전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회화연구 (Seminar in Painting)
회화의 이론과 각종 기법을 종합 응용하여 현대적 회화를 추구함에 있다. 주요 내용으로 현대 미술의 다양성, 특수성, 보편성을 가시적 대상과 추상적 대상을 각자의 사고와 개성에 따라 자유롭게 제작하며 주제를 선정하여 각자의 체험을 바탕으로 보편적이고 독창적인 조형성을 확립하도록 한다.
시각디자인론 (Theory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시각디자인의 전반적인 원리와 이론을 분석하고 역사적 배경에 대한 연구를 통해 디자인활동과 방법론의 전개를 정의함으로써 디자인의 구체적인 정의와 개인의 창조적 사고를 정립하는데 있다.
캡스톤디자인(Capstone Design)
미래의 신기술 및 서비스 등 창의적 디자인 상품의 개발을 연구하고 결과물의 프로토타입까지를 진행하며 우수 아이디어는 지속적으로 그 활용을 지원한다. 현 학문 단위별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고 융합을 통한 새로운 혁신적 가치를 창조하고 창의력 및 PBL(Problem Based Learning) 중심의 문제해결 능력, Team Project 수행능력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제품디자인연구 (Studies in Product Design)
제품디자인의 심화과정으로써 과학기술의 진보와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른 신제품디자인개발의 이론에 대한 연구를 하고, 신제품디자인 컨셉 설정 관련인자의 탐색과 분석, 합리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의 전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창출방법과 미래디자인의 가치를 조망하는 객관적 통찰력으로 기업 전략에 부응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을 실제 프로젝트를 통하여 교수하는 과목이다.
디자인 프로세스 (Design Process)
본 과정은 컨셉 도출이나 타겟 분류, 프레젠테이션 등의 일련의 디자인 과정 상의 디자이너의 객관적인 시각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된다. 따라서 성공적이며 세계적인 사용이 용이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수립에 역점을 둔다.
디자인과 매니지먼트 (Design and Management)
본 과정은 회사에서 디자인 행위가 이루어짐에 있어 전략적 사고를 익히는 데 역점을 둔다. 학생들은 회사의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디자인 결과물에 적용해 본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디자인 매니저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게 된다.
디자인 이슈 (Design Issues)
본 과정은 이슈가 되는 것들에 대한 배경과 실제를 연구한다 여러 가지 이슈들을 디자이너의 관점에서(디자인시스템, 전략, 이미지 전개 방법등)조사하여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탐험하며 새로운 이슈를 개발해 본다.
전통무용원론(Theory of traditional dance)
전통무용의 개념과 본질을 이해하고 전통우용의 정의, 역사, 미학 및 명작 해설을 통한 원론적 연구를 진행한다.
무형문화재작품(Practical work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한국 국가, 지방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무용종목의 춤사위 원리와 특징을 배우고 그 예술적 가치를 올바른게 전수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전통춤작품 (Traditional dance)
정통성을 지닌 고유 중국, 한국 전통춤 작품의 바른 분석을 통해 그 가치와 철학적 의미를 이해하고 전승 환경 및 계승 방안을 연구한다.
무용평론 (Criticism of dance)
무용평론은 무용비평의 기본 개념 및 비평양식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비평분석 방법과 적용을 목적으로 둔다. 국내외 작품들을 영상 혹은 직접 공연을 보면서 논리적 해석의 근거를 기반으로 종합 평가할 수 있도록 도모한다. 비평적 글쓰기의 방법을 익히며 안무가/무용수로서 미적 가치관을 형성하며 안무가로서의 능력 또한 함양한다.
무용교육프로그램 실습 (Practice of Dance Education)
실제 작업에 있어 필요한 구체적 접근방법을 터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실기예술인 '무용'과 '교육'을 연계시키는 작업을 습득한다. 아동, 청소년, 노인 등 대상별 해당하는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제작 및 실습한다. 그룹 별 브레인스토밍 작업과 자료수집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전평가 및 수정절차를 거쳐 완성한다. 또한, 전문적이고 창의적인 교육자로서의 교수법 과정을 습득한다.
현대무용사개론 (Introduction of modern dance history)
20C 이후 최근 춤 동향에 이르기까지의 무용예술이 가지는 예술적 가치와 역사적,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현대 춤의 특성과 표현에 대한 객관적 흐름을 이해하도록 한다. 현대 춤 예술의 이해를 춤과 사회구조 사이의 직. 간접적 연관성, 춤의 장르와 스타일, 춤의 실체 등 다양한 측면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