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비즈니스학과(Global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Korean content business)
21세기의 디지털 문화와 대중예술은 미디어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끊임없이 확장되고 있다.
뉴미디어 문화예술 콘텐츠의 기획, 제작, 마케팅, 생산과 유통 등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고,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 영역에서 현장실무에 특화한 차별화된 교육을 가르쳐야 한다.
시대적 트렌드를 혁신할 수 있는 문화적 역량을 콘텐츠 안에서 극대화하여, 이를 기반으로 교육과 산학협력 교육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콘텐츠 생산 역량을 기르고 양성한다.
K 콘텐츠 비즈니스 전공은 음악을 전공한 학생들에게는 문화적·기술적인 소양, 문화예술 관련 이론, 산학을 연계한 실제 경험, 그리고 비즈니스 소양과 글로벌 감각을 갖출 수 있게 교육하며, 기업 경영, 사회 복지등 현장에서 활동하시는 분들에게는 문화예술을 접목하여, 직원 관리 및 기업 문화 개선, 네트워킹 및 협력 기회, 문화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이해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문화예술이 사회복지 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여 보다 효과적인 정책 제안과 클라이언트의 복지 증진 및 지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문화예술 산업에 종사하는 분들에게는 전문성 향상, 네트워킹 강화, 창의력 및 혁신 촉진등 을 목표로, 창의적인 사고 및 실무 능력을 배양하는데 중점을 두는 커리큘럼으로 전문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인재로 성장하도록 전문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한다.
※ 진로전망
문화평론가, 문화상품개발, 관광회사, 지역브랜드개발관련벤처기업, 관공서, 지자체문화관광분야전문연구원, 문화콘텐츠마케터, 문화콘텐츠기획자
계열 | 학과 | 전공 | 학위 | 비 고 |
---|---|---|---|---|
예체능 | K콘텐츠비즈니스학과 | K콘텐츠비즈니스전공 | 문화예술학석사 (K콘텐츠비즈니스) |
과목명 | 비 고 |
---|---|
문화예술콘텐츠 세미나 (Seminar on Culture and Arts Contents) |
|
플랫폼 비즈니스의 이해 (Understanding the Platform Business) |
|
문화예술 소비심리학 (Consumer Psychology for Culture & Art) |
|
심화교육 I (Private Lesson I) |
|
월드뮤직의이해와감상 (Research in world music) |
|
뉴미디어와 문화예술콘텐츠 (New Media and Culture and Arts Contents) |
|
창업과 경영 (start-up and management) |
|
한류콘텐츠 연구 (Korean Wave Content Research) |
|
아티스트 메니지먼트 (Artist Management) |
|
심화교육 II (Private Lesson II) |
|
예술철학 (Philosophy of Art) |
|
대중미디어와 트렌드 세미나 (Seminar of Mass media & Trend) |
|
문화예술콘텐츠 비평 세미나 (Critical Seminar of Culture & Art Contents) |
|
문화예술과 미디어전략 (Culture and Arts and Media Strategies) |
|
문화예술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culture and arts) |
|
심화교육 III (Private Lesson III) |
|
문화예술 워크샵I (Project field practiceI) |
|
문화예술학 방법론 (Methodology of Culture and Arts) |
|
문화예술 워크샵II (Project field practiceII) |
|
스토리텔링과 콘텐츠개발 (Storytelling and Content Development) |
|
지적재산권과 윤리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ethics) |
|
한류와문화산업론 (Korean Wave & Culture Industry) |
|
현대심리학과 문화예술 (Culture and Arts and Commerce Management) |
|
문화예술 워크샵 III (Project field practiceIII) |
|
심화교육 IV (Private Lesson IV) |
|
문화예술 워크샵 IV (Project field practiceIV) |
|
직급 | 성명 | 학위 | 출신대학 | 전공 | 연구실 | 연락처 | |
---|---|---|---|---|---|---|---|
석사 | 박사 | ||||||
교 수 | 김민주 | 문화예술학박사 | 상명대학교 | 단국대학교 | 작곡 | 이공인문관 210 | c-music@anyang.ac.kr |
겸임교수 | 함석길 | 실용음악 | 경희대학교 재학중 | 작곡 | |||
겸임교수 | 신정은 | 컨템포러리뮤직프로덕션 | 서경대학교 재학중 | 작곡 | |||
겸임교수 | 최유리 | 공연예술학 | 단국대학교 | 단국대학교 재학중 | 보컬 |